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송유향, 황양선
논문 You-Hyang Song†, Yang-Sun Hwang†, Kwansoo Kim†, Hyungro Lee†, Jae-Hyun Kim, Catherine Maclachlan, Anaelle Dubois, Min Whan Jung, Carl C.H. Petersen, Graham Knott, Suk-Ho Lee, and Seung-Hee Lee (2020) Somatostatin enhances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ion by modulating excitatory inputs to the parvalbumin-positive interneurons in V1. Science Advances. April 22; 6(17): eaaz0517 (†equal contribution)
한줄요약 신경 펩타이드 소마토스타틴에 의한 시각 인지 능력 향상 효과 규명
송유향,황양선2.gif

<소마토스타틴 (SST)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와 소마토스타틴 처리에 의한 시각 인지 능력 향상 효과()>




1. 배경지식

소마토스타틴은 시상 하부에서 뇌하수체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신경펩타이드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소마토스타틴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서 널리 존재하고 있음이 알려졌으며, 특히 대뇌피질에서 흥분성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가바(GABA, γ-aminobutyric acid)성 신경세포의 하위 집단 중 일부에 발현되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신경세포 특이적 기능 연구는 주로 소마토스타틴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가바에 의한 억제성 효과에만 국한되어 있어, 소마토스타틴 신경펩타이드의 고유한 효과와 기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소마토스타틴을 이용한 인지 기능 조절 및 의약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었습니다.



2. 질문

대뇌 피질에서의 시각 정보 처리 과정에서 신경펩타이드인 소마토스타틴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소마토스타틴이 대뇌피질 내의 어떤 신경회로망을 통해서 기능을 수행하는지 알고자 했습니다.


 

3. 발견

연구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생쥐의 일차 시각 피질에 소마토스타틴을 처리했을 생쥐의 시각정보 처리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또한 전기생리학적 실험을 통해서 소마토스타틴의 주입이 일차 시각 피질 내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방향 선택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소마토스타틴이 다른 가바성 신경세포 집합 하나인 파브알부민 신경세포로 들어오는 흥분성 시냅스의 강도를 낮춤으로써 이러한 향상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연속 블록면 주사전자현미경 (SBEM) 사용하여 시각 피질 소마토스타틴 신경세포와 파브알부민 신경세포의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파브알부민 신경세포의 수상 돌기 혹은 세포체에 흥분성 시냅스를 전달하고 있는 축삭과 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는 축삭이 접촉해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마토스타틴이 파브알부민 가바성 신경세포로 들어가는 흥분성 시냅스의 강도를 억제함으로써 개체의 시각 정보 처리 능력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나아가 소마토스타틴이 조절하는 피질 신경 회로망을 규명함으로써, 인지 능력 장애를 가진 환자의 치료 회복 가능성을 있었습니다.



4. 후속

기존 연구에서 두뇌 인지 기능이 손상된 알츠하이머 환자의 대뇌 피질 조직과 뇌척수액에서 소마토스타틴의 양이 현저히 감소된 사실이 연구된 있습니다. 이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와 소마토타틴의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 환자군 두뇌에 소마토스타틴 또는 유사 신경펩타이드를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활성을 유도했을 인지 기능 회복이 가능한지를 추가로 확인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유사 소마토스타틴 펩타이드 전달을 통한 알츠하이머를 비롯한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장애를 치료 회복하는 의료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가능할 것입니다.


 

5. 소감

기존에 밝혀지지 않았던 신경펩타이드의 인지 기능 조절 능력을 규명하는 연구를 많은 연구자들과 함께 진행할 있어서 더욱 뜻깊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자들과 함께 교류하며 좋은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6. 기타

프로젝트가 좋은 논문으로 나올 있도록 전기생리학 실험을 지원해주신 서울대 이석호 교수님 연구실, 연속 블록면 주사전자현미경 실험을 지원해주신 EPFL Graham knott 박사님과 Carl C.H. Petersen 교수님 연구실, 행동실험 장비 구축을 지원해주신 카이스트 정민환 교수님 연구실 다양한 분들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도 부족함이 많았던 저희들에게 끊임없는 연구에 대한 열정을 가르쳐 주시고 지도해주신 이승희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지금의 성과에 그치지 않고 더욱 성숙한 연구자로써 교수님의 가르침을 이어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이민지(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실험실, 허원도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세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변화를 수용체를 통해서 인식하고, 그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데, 이를 통해서 세포 내에서 여러 기능들이 조절됩니다. 이러한 수용체 중 TGF-β receptor는 TGF-β와 결합하...
    Date2018.02.05 By생명과학과 Views4050
    Read More
  2. 이동윤(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황달 유발의 주요 물질이자 간 질환의 지표로 사용되어 온 빌리루빈은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염증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체 내의 강력한 항산화제로 밝혀져 큰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본 실험실에서는 과거 이...
    Date2017.10.24 By생명과학과 Views4181
    Read More
  3. 윤정민(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실험실, 송지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우리 몸에 중요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Histone octamer에 146 base pair가 감겨 있는 nucleosome이라는 기본단위로 이루어진 chromatin 형태로 보관이 되어집니다. DNA 복제 과정에서는 DNA가 복제가 ...
    Date2017.10.20 By생명과학과 Views5840
    Read More
  4. 유이슬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합리적 설계가 가능한 핵단백질 나노 입자와 암세포로의 표적화 및 치료 단백질 전달> 1. 배경지식 지난 수 십년 간 다양한 질병의 진행과 관련한 분자적 기작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생체 분자뿐만 아니라, 세포 내부의 다양한 ...
    Date2018.11.12 By생명과학과 Views4616
    Read More
  5. 유병준 (바이오나노의약 연구실, 전상용 교수님)

    < 펩타이드-항체 복합체 구성 및 항암 작용기작 > 1. 배경지식 펩타이드의약품이란, 약 40여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주로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서 생산하는 의약품을 말합니다. 펩타이드의약품은 질병 관련 표적에 특이적 결합으로 인해 임상...
    Date2019.01.09 By생명과학과 Views4978
    Read More
  6. 유미란(신경회로망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기억이 어떻게 형성 되어서, 어떻게 평생에 거쳐 저장되고 유지될 수 있을지를 밝히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입니다. 처음 획득한 기억이 안정화 되기 위해서는 기억에 중요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이 필수적입니...
    Date2017.10.30 By생명과학과 Views4093
    Read More
  7.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2
    Read More
  8. 유다영(동물세포공학 연구실, 이균민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mammalian 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 의약품의 70%는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를 이용합니다. Glutamine synthetase (GS) / Methionine sulfoximine (MSX) 시스템은 CHO 세포에서 단백질 생산을 ...
    Date2018.01.29 By생명과학과 Views8530
    Read More
  9. 유다슬이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항체조각과 Optobody 모식도 <그림 2> 광활성화된 항체에 의한 항원의 비활성 및 기능 억제 1. 배경지식 항체는 면역반응의 핵심 물질이며 질병 치료제로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항체를 직접적인 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항체 단백질을 정제하...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03
    Read More
  10. 오양균 (NYU)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배경지식 동물들은 미각 이외에도 체내에 영양분을 인지할 수 있는 신경세포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분 인지 신경세포들은 대략 60 년 전에 전기생리학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꽤 오래전에 발견 되었음에도 이들 신경세포들의 생물...
    Date2021.01.06 By생명과학과 Views1584
    Read More
  11. 엄승민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Three chamber test for social interaction> 1. 배경지식 뇌의 신경 세포망에서 시냅스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요소이자 신경 세포들 사이에서의 중요한 소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냅스는 수많은 유전자들로 구성 되어 있으며, 최근 다양한 정신...
    Date2018.07.16 By생명과학과 Views3767
    Read More
  12. 신호철, 김유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여러 종의 암의 공통적 특징을 표적하는 범용 치료용 항암 백신 개발 필요 암 연관 섬유아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백신 전략의 암 치료 효용성 발견 종양미세환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는 암 성장 촉진 인자 및 세포외기질을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2
    Read More
  13. 신혜림 (세포신호전달 연구실, David Helfman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암세포의 전이 및 산포는 세포 이동 및 세포 간 응집을 포함한 과정으로부터 비롯된 결과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 형태의 변화를 수반하며, 액틴 또는 이와 결합하는 다양한 단백질의 변이가 전이과정에서 ...
    Date2017.09.04 By관리자 Views3528
    Read More
  14. 신정환(시스템신경과학 연구실, 정민환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기저핵은 신경계에서 대표적으로 강화학습과 수의적인 운동에 중요한 부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화학습이란 예측한 기대치 (Expected value)와 실제 결과 (Outcome)의 차이 (Reward prediction err...
    Date2018.01.29 By생명과학과 Views5918
    Read More
  15. 신왕용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 NMDAR 활성을 통한 NGL-3 돌연변이 생쥐의 비정상적 행동과 전기생리학적 특징 회복 > 1. 배경지식 시냅스는 신경계의 가장 작으면서도 핵심적이고 기능적인 요소로 신경세포 간의 정보전달에 필수적인 구조입니다. 시냅스는 이온통로, 수용체, 접착 단백...
    Date2019.06.11 By생명과학과 Views3845
    Read More
  16. 신왕용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Grin2b 점돌연변이 생쥐의 비정상적 전기생리학적 특징과 특정시기의 NMDAR 활성을 통한 이상 회복> 1. 배경지식 소단위 단백질 GluN2B를 포함하고 있는 NMDA 수용체는 시냅스 장기 약화 (Long-term depression) 등 시냅스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
    Date2020.05.29 By생명과학과 Views2505
    Read More
  17. 신안나 (행동유전학 연구실, 김대수 교수님)

    <졸음 행동 모델 제작과정과 T타입 칼슘채널 결핍 마우스 모델의 졸음행동 차이분석> 1. 배경지식 일반적 수면 행동에 비해 졸음행동은 관련 연구가 면밀히 진행되지 않았다. 높은 칼로리의 식품 섭취는 수면을 유도하고, 마우스 모델을 사육되는 상자가 아닌...
    Date2018.12.19 By생명과학과 Views4064
    Read More
  18. 송유향, 황양선 (감각처리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소마토스타틴 (SST)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좌)와 소마토스타틴 처리에 의한 시각 인지 능력 향상 효과(우)> 1. 배경지식 소마토스타틴은 시상 하부에서 뇌하수체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신경펩타이드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소마...
    Date2020.04.30 By생명과학과 Views2122
    Read More
  19. 송요셉(시스템 및 합성 생물학 연구실, 조병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화석연료는 에너지 연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정유시 발생하는 석유화학제품도 제약, 섬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 고갈 문제 및 사용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
    Date2018.02.05 By생명과학과 Views3114
    Read More
  20. 손준영 (생체리듬 연구실, 최준호 교수)

    <배고플 때 잠을 못 자는 이유: 아미노산 세린이 아세틸콜린 신호를 증진시켜 잠을 억제한다> 1. 배경지식 동물들은 성장과 신체의 다양한 대사 작용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먹이로부터 얻으며, 굶게 되면 수면을 억제 시키면서까지 먹이를 찾는...
    Date2018.08.16 By생명과학과 Views448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