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과 전공과목 이수요건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 학사과정용) |
▣ 졸업이수학점: 총 130학점 이상 이수 ▣ 학과지정 기초선택: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9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 시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3학점 이상 이수
▣ 전공: 48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18학점 BS.20009 분자생물학(3), BS.20005 생화학Ⅰ(3), BS.20008 생화학Ⅱ(3), BS.20000 생화학실험(3), BS.20002 세포생물학(3), BS.30019 세포생물학실험(3) ○ 전공선택: 30학점 화학과 4개 교과목 CH.20021 유기화학Ⅰ(3), CH.20022 유기화학Ⅱ(3), CH.20051 분석화학개론(3), CH.30021 생유기화학(3)과 바이오및뇌공학과 2개 교과목 BiS.33005 Biomedical Statistics & Statistical Learning(3), BiS.43008 Bioinformatics(3)을 수강할 경우도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함. ▣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9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 ▣ 복수전공: 40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9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 ▣ 연구: 3학점 이상 이수 - 연구과목 졸업연구(필수) 3학점을 포함하여 연구과목 3학점 이상 이수 개별연구 1학점 이상, 세미나 2학점 이내 - 24주 인턴십프로그램 BS Co-op 1 (INT.94820, INT.94950) 이수학점 중 최대 21학점에 한해 졸업연구(3), 전공선택(3), 자유선택(15)으로 대체 인정 가능함. |
□ 경과조치 본 부전공 이수요건은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2019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종전 부전공 이수요건 또는 개정된 부전공 이수요건 중 하나를 만족하여도 된다. -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2016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 - 본 이수요건은 2010년도 가을학기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단, 학사과정 자유선택 이수요건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재학생은 종전 이수요건 또는 개정된 이수요건 중 하나를 만족하여야 한다. - 종전 이수요건으로 졸업을 하고자 하되 진화학이나 생물리화학을 이수하지 못한 학생은 전공선택과목 중 다른 과목을 이수하였을 경우 대체 인정함. - 전공과목 변경에 따른 대체과목 지정 ○ 세포생물및유전학 실험 → 세포생물학실험 - BiS.22005 Anatomy & Physiology은 2014년도 가을학기까지 이수한 학생은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2015년도 봄학기부터는 자유선택으로 인정한다. - BS.40053 생리학과 BiS.22005 Anatomy & Physiology를 모두 이수한 학생은 생명과학과 생리학만 전공선택으로 인정한다.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 BS Co-op 1 인턴십 프로그램 이수요건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선택인 “BS.20008 대사의 이해를 통한 신약개발“을 이수한 경우 전공필수(BS.20008 생화학II) 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이수한 경우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08 생화학II”와 전공필수로 변경된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모두 이수하여 전공필수 학점이 초과되는 학점은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생명과학과 전공과목 이수요건 (2016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 |
▣ 졸업이수학점: 총 136학점 이상 이수 ※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및 자유융합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 ▣ 학과지정 기초선택: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9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 시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3학점 이상 이수 ▣ 전공: 42학점 ○ 전공필수: 18학점 BS.20009 분자생물학(3), BS.20005 생화학Ⅰ(3), BS.20008 생화학Ⅱ(3), BS.20000 생화학실험(3), BS.20002 세포생물학(3), BS.30019 세포생물학실험(3) ○ 전공선택: 24학점 화학과 4개 교과목 CH.20021 유기화학Ⅰ(3), CH.20022 유기화학Ⅱ(3), CH.20051 분석화학개론(3), CH.30021 생유기화학(3)과 바이오및뇌공학과 2개 교과목 BiS.33005 Biomedical Statistics & Statistical Learning(3), BiS.43008 Bioinformatics(3)을 수강할 경우도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함.
▣ 심화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자유융합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 ▣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
▣ 복수전공: 40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이 중복되는 경우 최대 6학점 인정 ▣ 연구: 3학점 이상 이수 - 연구과목 졸업연구(필수) 3학점을 포함하여 연구과목 3학점 이상 이수 개별연구 1학점 이상, 세미나 2학점 이내 - 24주 인턴십프로그램 BS Co-op 1 (INT.94820, INT.94950) 이수학점 중 최대 21학점에 한해 졸업연구(3), 전공선택(3), 자유선택(15)으로 대체 인정 가능함. |
□ 경과조치 본 부전공 이수요건은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2019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종전 부전공 이수요건 또는 개정된 부전공 이수요건 중 하나를 만족하여도 된다. -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위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 - BS Co-op 1 인턴십 프로그램 이수요건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선택인 “BS.20008 대사의 이해를 통한 신약개발“을 이수한 경우 전공필수(BS.20008 생화학II) 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이수한 경우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08 생화학II”와 전공필수로 변경된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모두 이수하여 전공필수 학점이 초과되는 학점은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생명과학과 전공과목 이수요건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 |
▣ 졸업이수학점: 총 138학점 이상 이수 ※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및 자유융합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 ▣ 학과지정 기초선택: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9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 시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 ‘11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일반화학Ⅱ를 포함하여 3학점 이상 이수 ▣ 전공: 42학점 ○ 전공필수: 18학점 BS.20009 분자생물학(3), BS.20005 생화학Ⅰ(3), BS.20008 생화학Ⅱ(3), BS.20000 생화학실험(3), BS.20002 세포생물학(3), BS.30019 세포생물학실험(3) ○ 전공선택: 24학점 화학과 4개 교과목 CH.20021 유기화학Ⅰ(3), CH.20022 유기화학Ⅱ(3), CH.20051 분석화학개론(3), CH.30021 생유기화학(3)과 바이오및뇌공학과 2개 교과목 BiS.33005 Biomedical Statistics & Statistical Learning(3), BiS.43008 Bioinformatics(3)을 수강할 경우도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함.
▣ 심화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자유융합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 ▣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
▣ 복수전공: 40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이 중복되는 경우 최대 6학점 인정 ▣ 연구: 3학점 이상 이수 - 연구과목 졸업연구(필수) 3학점을 포함하여 연구과목 3학점 이상 이수 개별연구 1학점 이상, 세미나 2학점 이내 - 24주 인턴십프로그램 BS Co-op 1 (INT.94820, INT.94950) 이수학점 중 최대 21학점에 한해 졸업연구(3), 전공선택(3), 자유선택(15)으로 대체 인정 가능함. |
□ 경과조치 본 부전공 이수요건은 2020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2019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종전 부전공 이수요건 또는 개정된 부전공 이수요건 중 하나를 만족하여도 된다. -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위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 - BS Co-op 1 인턴십 프로그램 이수요건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선택인 “BS.20008 대사의 이해를 통한 신약개발“을 이수한 경우 전공필수(BS.20008 생화학II) 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이수한 경우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2024년 봄학기 이후 전공필수인 “BS.20008 생화학II”와 전공필수로 변경된 “BS.20023 생명공학개론”을 모두 이수하여 전공필수 학점이 초과되는 학점은 전공선택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
생명과학과 전공과목 이수요건 (2024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 |
▣ 졸업이수학점: 총 138학점 이상 이수 ※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 부전공, 복수전공 및 자유융합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 ▣ 학과지정 기초선택: BS.10022 생명의 다양성을 포함하여 9학점 이상 이수 ※복수전공 시 BS.10022 생명의 다양성을 포함하여 6학점 이상 이수 ▣ 전공: 42학점 ○ 전공필수: 18학점 BS.20009 분자생물학(3), BS.20005 생화학(3), BS.20023 생명공학개론(3), BS.20000 생화학실험(3), BS.20002 세포생물학(3), BS.30019 세포생물학실험(3) ○ 전공선택: 24학점 화학과 4개 교과목 CH.20021 유기화학Ⅰ(3), CH.20022 유기화학Ⅱ(3), CH.20051 분석화학개론(3), CH.30021 생유기화학(3)과 바이오및뇌공학과 2개 교과목 BiS.33005 Biomedical Statistics & Statistical Learning(3), BiS.43008 Bioinformatics(3)을 수강할 경우도 전공선택과목으로 인정함.
▣ 심화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자유융합전공: 12학점 이상 이수 - 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 ▣ 부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21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
▣ 복수전공: 40학점 이상 이수 - 전공필수 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이 중복되는 경우 최대 6학점 인정 ▣ 연구: 3학점 이상 이수 - 연구과목 졸업연구(필수) 3학점을 포함하여 연구과목 3학점 이상 이수 개별연구 1학점 이상, 세미나 2학점 이내 - 24주 인턴십프로그램 BS Co-op 1 (INT.94820, INT.94950) 이수학점 중 최대 21학점에 한해 졸업연구(3), 전공선택(3), 자유선택(15)으로 대체 인정 가능함. |
□ 경과조치 BS Co-op 1 인턴십 프로그램 이수요건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 본 이수요건은 2024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 2023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종전 이수요건 또는 개정된 이수요건 중 하나를 만족하여도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