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이준혁
논문 Lee, JH., Kim, Jy., Noh, S. et al. Astrocytes phagocytose adult hippocampal synapses for circuit homeostasis. Nature 590, 612–617 (2021).
한줄요약 별아교세포의 시냅스 제거를 통한 기억력 및 시냅스 항상성 유지 기전 규명

 

배경지식과 질문

 

성인 뇌는 기억형성이나 무언가를 인지할 때 시냅스를 만들고 없애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시냅스가 없어지는지, 그리고 굳이 시냅스를 왜 제거하고 있는지는 잘 알려진 바가 없었습니다.

뇌의 비신경세포 (교세포) 중 뇌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별아교세포는, 발생시기때 과도하게 생겨서 없어져야하는 시냅스를 MEGF10 MERTK 수용체를 통해 먹어서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hung et al., Nature, 2013). 저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해마의 별아교세포가 불필요한 시냅스를 끊임없이 제거함으로써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흥분성 시냅스 및 뇌 회로를 유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발견

이전에는 교세포가 시냅스를 먹는 것을 관찰하기 위해서 IHC 나 전자현미경을 이용해왔습니다. 하지만 전자현미경의 경우 한 연구실에서 갖추기 어렵고 특정 시냅스의 타입을 구분하고 나누기 또한 쉽지않다는 단점이 존재했습니다. IHC의 경우 시냅스와 교세포를 염색하여 보더라도 교세포와 겹쳐서 보이는 시냅스가 정말로 먹힌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교세포와 가까이에 존재하는 것인지 구분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mCherry-eGFP라는 간단한 산성감지 protein dimer를 시냅스에 연결하는 DNA reporter construct를 새로 개발하였습니다. construct를 사용하면, 먹히지 않은 시냅스는 mCherryeGFP의 형광이 모두 보여 노란색으로 관찰되지만, 먹힌 시냅스는 eGFP가 산성에 취약하여 먼저 분해되기 때문에 mCherry의 형광만 관찰됩니다. reporter constructAdeno-associated virus (AAV)packaging 하여 해마에 주입해 해마 시냅스에 특이적으로 발현을 시키고, 해마 시냅스가 교세포에 먹히는 패턴을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흥미롭게도, 주로 시냅스를 먹는 세포는 미세아교세포라는 기존의 학설과는 다르게, 별아교세포가 MEGF10을 통해서 해마에서 끊임없이 시냅스를 제거하고 있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의 생물학적 의미를 알기위해, 생쥐의 Megf10 유전자를 별아교세포에서 특이적으로 KO을 시키고 해마를 관찰한 결과, 비정상적인 구조의 시냅스의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 비정상적 시냅스는 신경전달 및 시냅스 가소성에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Megf10을 해마의 별아교세포에서만 KO한 생쥐의 기억력을 확인한 결과 24시간 뒤의 기억력에 문제가 생겼음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별아교세포가 해마에서 기억형성시 발생하는 과도하고 불필요한 시냅스를 끊임없이 MEGF10-mediated phagocytosis를 통해 제거하며, 이러한 과정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불필요한 시냅스가 해마에 축적되어 전반적인 해마의 기능저하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시냅스의 비정상적인 양적 변화는 다양한 뇌질환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연구결과가 여러 뇌기능 장애와 뇌질환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후속

 

현재는 별아교세포의 시냅스제거가 1) sensory-deprivation에 의한 primary visual cortex의 뇌 회로 재구성과 2) Olfactory bulb에서 꾸준히 새로 생겨나는 뉴런이 기존의 뇌 회로로 병합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소감

 

 

정원석 교수님의 지도 덕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정원석 교수님을 지도교수님으로 만나서 너무나도 감사한 시간이었고, 남은 학위기간도 충실히 지도 받아 독립적인 연구자로 하루빨리 나아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서호규(크로마틴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이 논문은 제 직전 논문의 후속 연구논문입니다. 이전 논문에서 Proteasome이 fission yeast centromere에서 heterochromatin spreading을 막는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것을 밝혔고, 이번 논문에서는 이러한 prot...
    Date2018.03.13 By생명과학과 Views3120
    Read More
  2. 송요셉(시스템 및 합성 생물학 연구실, 조병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화석연료는 에너지 연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정유시 발생하는 석유화학제품도 제약, 섬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 고갈 문제 및 사용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
    Date2018.02.05 By생명과학과 Views3114
    Read More
  3. 조혜림 (크로마틴 생물학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배경 지식 유전체는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 특이적인 3차원 구조로 응축되어 있습니다. 최근 유전체가 지닌 3차원 구조의 기능적인 특징에 관한 연구 내용이 밝혀짐에 따라, 유전체의 3차원 구조가 어떻게 조절되고 조직화 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Date2021.12.29 By생명과학과 Views3082
    Read More
  4. 조혜연 & 김무준 (신경회로망 연구실, 한진희 교수)

    <공포 기억 회상 시에 기억과 관련 없는 세포가 단 1%라도 활성화 되면 기억 회상 능력이 떨어진다.> 1. 배경지식 해마의 치사회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는 뇌 영역이다. 치매 환자들이 치상회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활동을 보인다. 옵신 단백질을 신...
    Date2018.07.17 By생명과학과 Views3043
    Read More
  5. 정지혜(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 조병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단감의 경우 실제로 수확 후, 2주 후부터 연화가(물러짐) 진행되어 1달이 지나면 대부분의 단감이 연화되어 먹을 수 없습니다. 이렇듯 단감이 상품성을 가질 수 있는 기간은 한정적 임에도 불구하고, 단감을 재...
    Date2018.01.08 By생명과학과 Views2949
    Read More
  6. 김성수(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좌),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우)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좌),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우)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
    Date2020.02.03 By생명과학과 Views2736
    Read More
  7. 인선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RNF20/40에 의한 열충격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1. 배경지식 진핵생물에서 DNA는 히스톤 단백질과 함께 ‘뉴클레오좀’이라는 단위로 존재합니다. 히스톤에는 Methylation, Acetylation, Phosphorylation, Ubiquitylation 등의 다양한 번역 후 수정(Post-...
    Date2019.02.07 By생명과학과 Views2733
    Read More
  8. 김종원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민감도와 특이성이 높은 표적 물질의 검출 및 분석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개는 신호 발생 물질인 효소를 나노입자나 항체에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이용하고 있으나, 화학적 결합 방법은 불안정...
    Date2017.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71
    Read More
  9. 김경덕 (시냅스 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전시냅스 단백질PTPσ에 의한 NMDA 수용체 안정성 조절 > 1. 배경지식 시냅스는 3,000 개 이상 종류의 단백질이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양 만큼 위치해야 제대로 기능할 수 있는 대단히 복잡한 구조체입니다. 시냅스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두 뉴런의 신경 ...
    Date2020.03.18 By생명과학과 Views2509
    Read More
  10. 신왕용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Grin2b 점돌연변이 생쥐의 비정상적 전기생리학적 특징과 특정시기의 NMDAR 활성을 통한 이상 회복> 1. 배경지식 소단위 단백질 GluN2B를 포함하고 있는 NMDA 수용체는 시냅스 장기 약화 (Long-term depression) 등 시냅스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
    Date2020.05.29 By생명과학과 Views2507
    Read More
  11. 유다슬이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항체조각과 Optobody 모식도 <그림 2> 광활성화된 항체에 의한 항원의 비활성 및 기능 억제 1. 배경지식 항체는 면역반응의 핵심 물질이며 질병 치료제로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항체를 직접적인 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항체 단백질을 정제하...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504
    Read More
  12. 서예지 (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Graphical Abstract: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를 통한 신경세포의 극성화 <그림. 2>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에 의한 액틴파 형성 및 축삭 단백질의 축적 1. 배경지식 신경세포는 발달과정동안 여러 개의 미성숙 신경 돌기를 가지...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435
    Read More
  13. 이준혁(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배경지식과 질문 성인 뇌는 기억형성이나 무언가를 인지할 때 시냅스를 만들고 없애는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시냅스가 없어지는지, 그리고 굳이 시냅스를 왜 제거하고 있는지는 잘 알려진 바가 없었습니다. 뇌의 ...
    Date2021.08.17 By생명과학과 Views2396
    Read More
  14. 송유향, 황양선 (감각처리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소마토스타틴 (SST)의 작용 메커니즘을 나타낸 모식도 (좌)와 소마토스타틴 처리에 의한 시각 인지 능력 향상 효과(우)> 1. 배경지식 소마토스타틴은 시상 하부에서 뇌하수체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신경펩타이드로 처음 알려졌습니다. 이후 소마...
    Date2020.04.30 By생명과학과 Views2125
    Read More
  15. 박기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배경 지식 RNA 전사에 관련된 연구는 그동안 RNA polymerase가 주로 이동하는 방향이자 protein-coding 유전자 발현에 해당하는 sense 전사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퀀싱 기술의 발달로, 게놈의 상당 부분에서 반대 방향의 전사, 즉 antisense 전사...
    Date2022.05.02 By생명과학과 Views2050
    Read More
  16. 김진은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Date2021.01.07 By생명과학과 Views1989
    Read More
  17. 김재현(감각처리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배경 지식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은 외부 환경에서 유입되는 다양한 감각 정보를 지각하여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합니다. 한 예로, 교통 신호등 앞에서 운전자가 붉은색 신호를 볼 경우 출발하지 않고 기다려야 하며, 푸른색 신호로 바뀔 경우 출발할 수 ...
    Date2021.08.24 By생명과학과 Views1684
    Read More
  18. 오양균 (NYU)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배경지식 동물들은 미각 이외에도 체내에 영양분을 인지할 수 있는 신경세포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분 인지 신경세포들은 대략 60 년 전에 전기생리학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꽤 오래전에 발견 되었음에도 이들 신경세포들의 생물...
    Date2021.01.06 By생명과학과 Views1585
    Read More
  19. 이진형, 김보람, 김병수, 황가영, 이유진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1. 배경지식 초파리에서 GAL4-UAS system은 특정 부위에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게 해 줍니다. GAL4는 yeast transcription activator protein이고 UAS는 GAL4가 특정적으로 붙는 enhancer인데 GAL4가 있으면 UAS를 enhancer로 가지는 유전자의 전사가 ...
    Date2020.12.29 By생명과학과 Views1358
    Read More
  20.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