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김태윤
논문 Tae Yoon Kim⁠*⁠, Hyo-Deok Seo*, Joong-jae Lee, Jung Ae Kang, Woo Sik Kim, Hye-Min Kim, Ha-Yeon Song⁠, Ji Min Park, Dong-Eun Lee⁠⁠, Hak-Sung Kim⁠ (2018), A dimeric form of a small-sized protein binder exhibits enhanced anti-tumor activity through prolonged blood circulation. J Control Release, 279: 282-291 (*contributed equally). doi: 10.1016/j.jconrel.2018.04.039
한줄요약 크기가 작은 비항체 골격 단백질인 repebody와 단백질 linker인 spytag-spytag을 이용해 만든 homodimer 형태를 이용하여 혈액 내 순환 시간 및 암 억제 효능 증가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질병 치료제들은 항체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 기반의 치료들은 제작이 어려우며 제조비용도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항체들을 대신할 단백질 기반의 치료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비항체 골격 기반 단백질(non-antibody scaffold protein)들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비항체 골격 기반 단백질의 한 종류인 Repebody를 개발하여 여러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하고자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Repebody를 포함한 많은 비항체 골격 단백질들은 항체에 비하여 그 크기가 매우 작습니다. 이로 인해 뛰어난 세포 침투 능력 등 여러가지 장점들도 가지고 있지만, 작은 크기로 인하여 체내에 주입 시 매우 빠른 속도로 소모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특히, renal filtration threshold30kDa을 넘지 못하여 주로 신장을 통해 혈액 내에서 빠르게 제거가 됩니다. 이에 저는 repebody의 혈중 반감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알려진spytag-spycatcher라는 단백질 linkerrepebody를 연결하여 covalent bond로 강하게 결합된 repebody homodimer 형태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homodimer 형태의 repebody가 마우스 체내에서 기존의 단일 형태의 repebody보다 시간 당 혈중 농도가 증가하고 더 느리게 혈액에서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능력이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하여 spytag-spycatcher 단백질에 기반한 homodimerization 시스템이 비항체 골격 단백질들의 혈액 내 순환 시간을 증가시켜주는 platform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figure.jpg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본 연구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실험이 매우 필수적이었지만 저희 실험실은 이를 진행할 수 없었기에, 마우스 실험이 가능한 다른 연구진과의 co-work을 통하여 본 논문을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험 중간에 제가 직접 마우스 체내 주입을 시도해 보았으나 생각만큼 잘 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마우스 실험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몸소 깨닫게 되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모든 연구를 혼자서 다 할 것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co-work을 통하여 효과적이고 빠르게 실험결과를 얻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처음부터 새로운 것을 개발해 내려고 하는 것도 좋지만 이미 개발해 낸 것을 잘 응용하여 새롭게 구현하는 것 또한 좋습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내가 개발한 치료제가 질병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고자 생명과학자가 되었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이번 연구를 지도해주신 김학성 교수님, 그리고 저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신 서효덕 박사님께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연구에 매진하여 저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김지훈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실시간 small GTPase 단백질 센서의 개발과 생명연구의 적용 > (a) Schematic of ddFP-based small GTPase sensor. (b) (top) Schematic depiction of KRas (G-KRas) sensor construct. (bottom) Fluorescence images showing Ras activ...
    Date2019.02.07 By생명과학과 Views4111
    Read More
  2. 김진은 (신경내부인지 연구실, 서성배 교수님)

    Date2021.01.07 By생명과학과 Views1987
    Read More
  3. 김찬희, 권용민 (식물학 연구실, 최길주 교수님)

    질문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고 불리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다. 파이토크롬 포토바디는 어떤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을까? 발견 식물 광수용체인 파이토크롬은 포토바디라는 빛에 조절되는 액체-액체 상 분리 응집체를 형성한...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36
    Read More
  4. 김태묵(크로마틴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Next-Generation sequencing(NGS) 기술로 인해 최근 수년간 대규모의 Sequencing 데이터가 쌓여가고 있습니다. 많은 생물학을 연구하는 연구원들께서 이미 공개된 수많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목...
    Date2018.04.23 By생명과학과 Views4692
    Read More
  5. 김태윤(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질병 치료제들은 항체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항체 기반의 치료들은 제작이 어려우며 제조비용도 매우 높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항체들을 대신할 단백질 기반의 치...
    Date2018.05.09 By생명과학과 Views5886
    Read More
  6.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7. 김희연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생물의약품이 세포 내로 전달되어 약효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선택적인 투과성을 지닌 세포막을 잘 투과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세포의 분열 및 성장에 관여하는 상피세...
    Date2017.12.29 By생명과학과 Views4667
    Read More
  8. 노수민(동물세포공학 실험실, 이균민 교수님)

    <GS/MSX시스템을 이용해서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주를 만드는 과정> 1. 배경지식 바이오 의약품 (치료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고자 할 때, 간단한 모양을 가진 단백질은 미생물이나 효모에서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형태의 단백질 의약품은 ...
    Date2018.05.09 By생명과학과 Views13715
    Read More
  9. 문경환(신경발생학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Nf2는 각 구획의 세포분열 속도를 조절하는 스위치> 1. 연구를 시작한 계기 : 신경섬유종증을 앓고 있는 환자 중 많은 수가 안과 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신경섬유종증의 원인이 되는 Nf2 유전자 돌연변이가 어떤 기작으로 안과 질환을 ...
    Date2018.04.30 By생명과학과 Views3792
    Read More
  10. 문진우 (암 에피제네틱 연구실, 김미영 교수님)

    질문 악성 췌장암의 진행 및 전이를 유발하는 유전자와 그 기작은 무엇인가? 발견 기저형 (basal-like)의 아형을 보이는 췌장선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은 보다 공격적인 특성을 보이며, 빠른 진행과 전이 양상을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38
    Read More
  11. No Image

    민광욱 박사 (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눈에서 나온 시신경 다발이 양쪽 뇌로 연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발견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동물은 두개의 눈을 가지고 인식한 외부 물체의 시각 신호를 뇌로 신호를 보내고, 뇌에서는 이 신호를 통합해 물체의 모양, 거리, 이동 방향을 파악함. 이때 ...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19
    Read More
  12. 민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그림. 염증반응에 의한 두 종류의 CD64+ 염증성 수지상 세포의 분화 및 역할> 1. 배경지식 림프절(lymph node)은 항원 등의 외부 침입에 대응하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매우 중요한 조직입니다\. 이 림프절 내에 존재하는 면역 세포들의 시공간적 조절은 방...
    Date2018.07.04 By생명과학과 Views4457
    Read More
  13. 박기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배경 지식 RNA 전사에 관련된 연구는 그동안 RNA polymerase가 주로 이동하는 방향이자 protein-coding 유전자 발현에 해당하는 sense 전사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퀀싱 기술의 발달로, 게놈의 상당 부분에서 반대 방향의 전사, 즉 antisense 전사...
    Date2022.05.02 By생명과학과 Views2046
    Read More
  14. 박세근, 정용철, 김대건(행동유전학 실험실, 김대수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사람과 동물은 생존을 위한 먹이나 유용한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호기심을 갖고 다양한 사물을 탐색한다. 동물이 유용한 자원 혹은 먹이를 확보하려는 것은 생존을 위한 강력한 욕구이다. 인간은 이러한 욕구를 ...
    Date2018.03.19 By생명과학과 Views4813
    Read More
  15. 박은애 (식물학 연구실, 최길주 교수)

    <그림. 파이토크롬의 힘: 숲 속, 키 큰 나무 아래 그늘에 비추는 잠깐의 빛으로도 키 작은 식물은 푸르러진다> 1. 배경지식 파이토크롬B는 빛을 인지하여 식물의 발아, 새싹 발달, 개화 등을 조절하는 광수용체이다. 파이토크롬B가 식물의 광형태형성을 촉진...
    Date2018.07.26 By생명과학과 Views4518
    Read More
  16. 박준우 박사(신경발달 및 재생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질문 한정된 공간인 세포핵 안에서 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을 세포는 어떻게 처리할까? 발견 세포핵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전사인자 단백질인 OTX2가 세포핵 돌출 소막에 쌓여 세포질의 리소좀(lysosome)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세포 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규명...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27
    Read More
  17.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18. 박진아 (대사신호전달 연구실, 김세윤 교수님)

    <흥분성 신경세포 특이적 IPMK 녹아웃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증진 효과> 1. 배경지식 포유류에게 있어 다가오는 위협에 대응하여, 관련된 사건을 기억하고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은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껴 수행능력이...
    Date2019.03.28 By생명과학과 Views4131
    Read More
  19. 박하람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1. 배경지식 시냅스는 다양한 단백질의 집합체입니다. 시냅스의 정상발달을 위해서는 단백질들이 적재적소에 발현하여 단백질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있어야합니다. 시냅스 형성 초기에 이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에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존재합...
    Date2020.04.30 By생명과학과 Views3332
    Read More
  20.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