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신안나
논문 Anna Shin*, Jeonghoon Woo*, Jung Eun Kim and Daesoo Kim** (2018) Nodding behavior couples to vigilance fluctuation in a high-calorie diet model of drowsiness. Molecular Brain 11:33 (*contributed equally,**corresponding author)
한줄요약 고지방 식품을 이용한 마우스 졸음 행동 모델 제작 및 T타입 칼슘채널 결핍 마우스 모델에서의 졸음행동 차이 규명
figure.jpg


<졸음 행동 모델 제작과정과 T타입 칼슘채널 결핍 마우스 모델의 졸음행동 차이분석>



1. 배경지식

   일반적 수면 행동에 비해 졸음행동은 관련 연구가 면밀히 진행되지 않았다. 높은 칼로리의 식품 섭취는 수면을 유도하고, 마우스 모델을 사육되는 상자가 아닌 상자에 두면 긴장행동 증가로 수면이 억제된다. 우리는 가지 행동 충돌이 졸음행동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수면 리듬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타입 칼슘채널이 결핍된 마우스를 통해 졸음행동의 차이를 관찰하고자 했다.


2. 질문

   졸음행동의 생리학적 기준은 무엇인가? 또한 관찰을 위해 어떠한 행동학적 모델이 필요할까?


3. 발견

    연구에서 우리는 졸음행동의 행동학적, 생리학적 기준을 제시하고, 고지방 식품을 이용해 마우스 졸음 행동 모델을 제작하였다. 먼저 우리는 졸음 상태에서 마우스가 고개를 빠르게 끄덕이는 행동을 보이는 것을 기반으로 조는 행동을 분석했다. 나아가 생리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동물의 정도를 측정하는 대표적 지표인 뇌파신호 EEG(Electroencephalography) 근육신호 EMG(Electromyography) 신호를 측정했다. 고개를 빠르고 짧게 끄덕이는 졸음행동은 EEG 신호의 델타 (수면 상태에서 주로 나타나는 뇌파) 증가와 EMG 신호 감소 후에 나타났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행동을 보이는 동안 일시적으로 빠른 EMG 신호의 증가와 EEG 델타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졸음 행동은 고지방 식품 섭취 마우스를 실험용 상자에 두었을 유의하게 많이 일어났다.  더불어 우리는 수면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타입 칼슘채널이 결핍된 마우스에서 졸음행동의 빈도 증가가 나타남을 보였다.


4. 후속

   연구를 통해 특정 회로 혹은 영역에서 졸음행동을 유도하고 관장하는지 연구 있게 것이다.


5. 소감

   연구가 마무리 되고, 논문으로 완성되는 과정에서 많을 것을 배울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가 수면 연구와 관련 질병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6. 기타

   연구의 흐름을 잡을 있도록 항상 도움주신 김대수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 연구의 시작과 진행에 있어 많은 기여를 하신 우정훈 선배님과, 실험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신 김정은 선배님께도 깊은 감사 드립니다. 언제나 많은 부분에서 도움 주시는 행동유전학 연구실 선배, 후배님들께도 감사를 전합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7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7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23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7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