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유이슬
논문 Yiseul Ryu*, Jung Ae Kang*, Dasom Kim, Song-Rae Kim, Seungmin Kim, Seong Ji Park, Seung-Hae Kwon, Kil-Nam Kim, Dong-Eun Lee, Joong-jae Lee, and Hak-Sung Kim (2018) Programed Assembly of Nucleoprotein Nanoparticles Using DNA and Zinc Fingers for Targeted Protein Delivery. Small, 10.1002/smll.201802618 in press (*contributed equally)
한줄요약 특이적인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핵단백질 나노 입자 개발 및 이의 표적 단백질 전달체 로의 응용 연구
figure.png

<합리적 설계가 가능한 핵단백질 나노 입자와 암세포로의 표적화 치료 단백질 전달>



1. 배경지식

   지난 십년 다양한 질병의 진행과 관련한 분자적 기작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생체 분자뿐만 아니라, 세포 내부의 다양한 분자들이 약물이 작용하는 표적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표적으로 하는 분자 화합물과 더불어 최근에는 특이성이 매우 우수한 생물학적 제재인 단백질 의약품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백질은 세포막 투과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에서도 나노 입자를 이용한 전달 기술은 목적에 맞는 다양한 기능을 갖게 있다는 점을 포함한 여러 장점 때문에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서 여러 가지 제작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2. 질문

   생체 분자인 DNA 단백질의 특이적인 상호작용을 이용해서 초분자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를 세포 단백질 전달로의 응용이 가능할 것인가?


3. 발견

     1) 이전 연구에서 진행했던 DNA 징크 핑거 단백질 간의 서열 특이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 클러스터를

         제작한 것을 바탕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나노 입자를 중심으로 하고 표면에 특이적 결합체인 핵단백질

         구조체를 코팅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나노입자, DNA 단백질로 구성된 초분자 복합체를 제작하였습니다.

     2) 특히 특이적 결합은 DNA 결합 단백질인 징크 핑거 단백질과 특이적 DNA 서열을 매치 시킴으로써 연구에서

      는 2종류의 결합 쌍을 사용하여 세포 표적화 물질과 전달할 단백질 탑재를 합리적 설계를 통해 나노 구조체의

         원하는 곳에 있었으며 탑재 개수 또한 DNA 서열의 조절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였습니다.

     3) 제작된 핵단백질 나노 입자는 독성 단백질을 탑재하였을 세포 수준 동물 모델에서 선택적 독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습니다


4. 후속

    핵단백질 나노 입자를 세포 내로 전달하였을 , 어떠한 세포 루트에 의해 탑재 단백질이 효능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범용성을 확인할 있는 목적으로 같은 DNA-단백질 상호작용을 이용하지만 지금과 다른 디자인 방법으로 다른 단백질을 전달할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5. 소감

   핵단백질 나노 입자를 이용한 연구는 원래 단백질 전달에의 응용이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응용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고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원래 계획했던 실험이 실패하게 되면서 이를 다른 용도로 연구를 시작하게 것이 논문입니다. 처음 아이디어를 냈던 시기부터 논문이 마무리가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그래도 마무리가 되어 기쁩니다.


6. 기타

   비록 실험이 실패했지만 다시 아이디어가 사장되지 않고 다른 연구로 응용 발전될 있게 옆에서 많은 조언과 실험으로 도와준 남편 이중재 박사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습니다. 또한 실험실을 떠난 이후에도 논문이 마무리될 있게 도와주신 지도교수님이신 김학성 교수님께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새로운 곳에서 다시 세팅하여 실험 여러가지로 많은 도움을 주신 다른 논문 저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4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1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4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