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정화진, 박하람
논문 Hwajin Jung*, Haram Park*, Yeonsoo Choi, Hyojin Kang, Eunee Lee, Hanseul Kweon, Junyeop Daniel Roh, Jacob Ellegood, Woochul Choi, Jaeseung Kang, Issac Rhim, Su-Yeon Choi, Mihyun Bae, Sun-Gyun Kim, Jiseok Lee, Changuk Chung, Taesun Yoo, Hanwool Park, Yangsik Kim, Seungmin Ha, Seung Min Um, Seojung Mo, Yonghan Kwon, Won Mah, Yong Chul Bae, Hyun Kim, Jason P Lerch, Se-Bum Paik and Eunjoon Kim (2018) Sexually dimorphic behavior, neuronal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in Chd8-mutant mice. Nat Neurosci. [Epub ahead of print] doi: 10.1038/s41593-018-0208-z. (*contributed equally)
한줄요약 여성의 자폐 발병률이 낮은 원인에 대한 가설 제시
figure.jpg



<Sexually dimorphic gene expression in Chd8-mutant mice>



1. 배경지식

   자폐증은 1% 가량의 인류가 영향을 받는, 굉장히 사회적 비용이 들어가는 정신질환입니다. 사회성 문제와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환자를 자폐증으로 진단합니다. 세계적으로 인종, 지역, 의료수준에 관계없이 보이는 가장 특징은 남성이 여성보다 4 이상 자폐증 환자로 진단된다는 것입니다. 이런 발병률의 차이를 규명할 있다면, 자폐증의 원인 규명 아니라, 치료 목적으로도 획기적인 발견이 것입니다.


 

2. 질문

   생쥐 모델에서도 수컷과 암컷의 자폐에 대한 민감도가 다른가를 알고 싶었고, 그렇다면 이런 현상을 조절하는 인자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싶었습니다.


 

3. 발견

   우리는 자폐증 환자에서 발견된 CHD8 (Chromodomain Helicase DNA binding protein 8)유전자의 변이 (Asn2371LysfsX2 in human, Asn2373LysfsX2 in mouse) 생쥐에게 도입하여 행동학적, 전기생리학적, 그리고 유전체학적인 성별 이형성을 관찰하였고, 특히 암컷 특이적인 분자적 반응을 찾아내는 성공했습니다.




4. 후속

     우리가 발견한 암컷 특이적인 분자적 반응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고 뚜렷한 분자적 기작을 밝히고자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다른 자폐증 모델 생쥐에서도 이와 같은 기작이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적용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있는지 확인하여 자폐증 치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5. 소감

   CHD8 자폐증 환자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돌연변이 입니다.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함께 많은 경쟁이 있는 연구분야 였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우리만의 특징이 있고 분야에 도움이 있는 가설을 제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 굉장한 관심을 받고 있는 molecule ‘CHD8’, 자폐의 가장 공통적인 기작을 제시할 있는 ‘gender bias’ keyword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현재는 연구를 완벽하게 없다는 불안감도 있었지만, 우리가 있는 최선을 다해 반드시 필요했던 부분에 용감하게 도전하였고, 노력과 의미를 인정받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가 과학을 하는 이유는 전진하기 위함입니다. 속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또한 속에는 과학의 재미 의미 있습니다.


 

6. 기타

   연구에 /간접적으로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1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99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57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6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9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3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