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허우성
논문 Woosung Heu*, Jung Min Choi*, Hyun-Ho Kyeong, Yoonjoo Choi, Hee Yeon Kim, and Hak-Sung Kim (2018) Repeat Module-Based Rational Design of a Photoswitchable Protein for Light-Driven Control of Biological Processes. Angew. Chem. Int. Ed. Engl. (*contributed equally) doi: 10.1002/anie.201803993
한줄요약 LRR 단백질 기반으로 합리적 설계를 통해 광스위치 단백질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신호전달 조절
figure.jpg



1. 배경지식

   빛을 이용한 세포의 다양한 신호전달 조절은 물리, 화학적 방법보다 침습적이고 빠르기 때문에 세포 기능 연구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주로 자연에 존재하는 스위치 단백질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많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이들 단백질을 각각의 신호전달 시스템에 맞도록 재설계해야 하는 복잡하고 힘든 과정으로 인해 실제 응용에 많은 제한이 있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의해 최근에는 합성된 광스위치 분자를 단백질에 결합시켜 빛에 따라 기능을 조절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경우도 빛에 따라 스위치처럼 작동하는 단백질의 설계 방법이 단백질 종류에 따라 다르고 복잡하여 활용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2. 질문

   우리는 복잡한 설계가 필요없이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한 광스위치 단백질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3. 발견

   우리는 Leucine-rich repeat( LRR)모듈로 구성된 반복 단백질을 바탕으로 구조 생물학과 분자동력학(molecular dynamics) 모델링을 이용하여 광스위치 분자를 반복 모듈사이에 결합시켜 접합면을 가역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표적에 대한 결합력을 빛으로 조절 있는 단백질 설계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다양한 표적에 결합하는 LRR 단백질을 대상으로 설계기술을 적용한 결과 기대한 대로 각의 표적에 대한 결합력을 빛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절할 있는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설계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특히, 빛에 의해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대한 결합력 조절이 가능한 단백질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포 EGFR 신호 전달을 빛으로 조절 있음을 증명하였습니다.


 

4. 후속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설계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을 조절할 있는 광스위치 단백질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5. 소감

   설계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분들과 함께 연구하였고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의견을 나누는 것이 연구를 진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느꼈습니다.


 

6. 기타

   연구가 마무리될 있도록 지도해주신 김학성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함께 연구를 수행하신 최정민 박사님과 연구를 진행하면서 많은 도움을 경현호 박사님, 최윤주 박사님께도 감사드립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4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3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5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