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장진호
논문 Jinho Jhang, Hyoeun Lee, Min Soo Kang, Han-Sol Lee, Hyungju Park* and Jin-Hee Han* (2018)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Its Input to the Basolateral Amygdala Control Innate Fear Response. Nature Communications, 9(2744) (*co-correspondence)
한줄요약 본능적인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새로운 전두엽-편도체 뇌신경 회로를 발견하다.
figure.jpg


<그림> 전두엽-편도체 뇌신경회로는 포식자 냄새에 대한 생쥐의 본능적 공포 반응을 조절한다.





1. 배경지식

   공포 반응 사람과 동물이 위험한 상황에서 다치는 것을 막아주고 생존할 확률을 높여주는 유익한 생물학적 형질입니다. 예를 들어, 모퉁이를 돌아서다가 갑자기 튀어나온 자동차 때문에행동이 얼어붙은 멈춰버린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것은동결 (freezing)”이라고 불리는 반응으로, 사람뿐 아니라 대부분의 척추 동물들에서 대표적으로 관찰되는 공포 행동 반응입니다.  반면, 이러한 반응들을 조절하는 뇌신경 회로에 이상이 생김으로써 공황 장애나 선천후 스트레스 장애 같은 공포-연관 질환을 앓을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과학적/의학적 가치의 증진을 위해, 신경과학자들은 두뇌 회로가 공포 반응을 올바르게 조절하는 원리를 연구합니다.

 

2. 질문

   전두엽 신경회로가 본능적인 공포 반응을 조절할 있을까?

 

3. 발견

   전두엽이라는 뇌영역은 복잡한 포유류의 두뇌 속에서도 가장 고도의 연산이 일어나는 장소입니다. 선행 연구들은 전두엽 두뇌회로가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현상을 보고해 왔지만, “트라우마적 경험에 의해 학습된”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원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본능적인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전두엽 회로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에 저희 연구진은 “포식자와 연관된 본능적인 공포 반응에는 전두엽 회로가 관여할 있을까? 관련 영역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품었고, 이어진 실험들을 통해 포식자 냄새에 대한 생쥐의 본능적인 공포 반응이 전두엽-편도체 회로의 일종인 ACC-BLA 연결을 통해 조절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4. 후속

   저희 연구진이 발견한 회로는 네트워크의 일부입니다. 향후 연구를 통해입력출력”, “상호 경쟁 또는 보완적인신경회로를 파헤쳐 나아가,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두뇌 전체의 지도를 완성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의 꿈입니다.

 

5. 소감

   작은 가정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편으로, 처음부터 현상을 예측하는 과학 이론을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그저 겸허하고 감사한 마음이지만, 앞으로 전문 과학자로서의 도전을 통해이론을 통해 처음부터 설계했던 가설이 멋지게 증명되는연구를 경험해보고 싶습니다.

 

6. 기타

   부족한 면이 많은 저를 대학원 생활동안 지도해주신 지도교수님, 그리고 연구실 동료 선후배 분들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1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93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38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4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4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