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조혜연 & 김무준
논문 Hye-Yeon Cho*, Mujun Kim*, and Jin-Hee Han (2017) Specific disruption of contextual memory recall by sparse additional activity in the dentate gyrus. Neurobiol Learn Mem. 2017 Oct 12;145:190-198. doi: 10.1016/j.nlm.2017.10.006. (*contributed equally)
한줄요약 기억을 저장하는 뇌 영역에서 비정상적인 활성화는 기억 회상 장애를 일으킨다.
figure.png


<공포 기억 회상 시에 기억과 관련 없는 세포가 1%라도 활성화 되면 기억 회상 능력이 떨어진다.>


1. 배경지식

   해마의 치사회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치매 환자들이 치상회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활동을 보인다. 옵신 단백질을 신경세포에 발현시켜 인위적으로 활성화 시킬 있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 치매에서 관찰된 치상회의 비정상적 활성화와 기억 회상 장애 간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2. 질문

   기억을 제대로 회상하기 위해서는 기억을 저장하는 세포들이 얼만큼 정확하게 활성화 되어야 하는지 알고 싶었다.


 

3. 발견

   회상에 필요한 치상회의 신경세포들 이외에 1% 세포집단이라도 추가적으로 활성화되면 맥락적 공포 기억을 제대로 회상하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치매나 고령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치상회의 높은 활동과 동반되는 기억력 상실 증상과 유사한 현상이다.


 

4. 후속

   연구를 통해 아주 적은 양이라도 불필요한 활성화가 나타나면 기억 회상이 안된다는 것을 알아냈는데, 신경세포나 회로망 수준에서 회상을 방해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자세한 메커니즘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5. 소감

    처음 아이디어를 구상하는 것에서부터 글을 쓰고 figure 그리는 작업까지 어느 과정 하나 빠짐없이 모두 굉장히 중요하고 직접 세세하게 들여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성격이나 취향에 따라 실험만 하길 원하거나 논문 작업을 선호하거나 수는 있겠지만 모든 과정에 관심을 갖고 직접 부딪쳐가며 분투하면 연구주제에 대해 그만큼 깊이 생각하게 되고 배우는 것이 많아지는 같습니다. 준비기간과 우여곡절 끝에 논문이라는 결과물을 손에 쥐었을 때의 기쁨은 이루 말할 없습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4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1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4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3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