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김륜희
논문 Eunkyung Lie*, Yan Li*, Ryunhee Kim* and Eunjoon Kim (2018) SALM/Lrfn Family Synaptic Adhesion Molecules. Front. Mol. Neurosci. 11:105. doi: 10.3389/fnmol.2018.00105
한줄요약 시냅스 접착 단백질 SALM family의 In vivo functions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선 다양한 molecular process 통해 neuronal synapse 발달 되어야 합니다. 특히나, presynapse postsynapse 사이의 adhesive contact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과정에 시냅스 접착 단백질 (synapse adhesion molecules)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저희 교수님은 PSD95라는 시냅스 단백질을 발견하시고 PSD95 Interaction 이루는 단백질들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셨습니다. 이후 저희 연구실을 비롯 다른 연구실들에서 각기 독립적으로PSD-95 interacting molecule 시냅스 접착 단백질 SALM/Lrfn family 새로이 발견하고 학계에 보고한 바가 있습니다. Synaptic Adhesion-Like Molecules (SALMs) 다양한 in-vitro study 통해 시냅스 발달 단계에 다방면으로 관여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이번 리뷰 논문에서는 In-vivo study 초점을 맞추어 Genetic Mouse Model 연구된 SALMs physiological functions 대해 다루며 나아가 저희 연구실의 주요한 관심 분야인 신경 질환과 SALMs간의 연관성도 다루었습니다.

  간략히 리뷰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SALM family 다섯 멤버(SALM1, SALM2, SALM3, SALM4, SALM5) Family간에 상당히 유사한 domain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C-term 다른 amino acid sequence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질 것으로 주시 되었습니다. 예상과 같이 SALM1, SALM3 knock-out mice에서는 excitatory synapse number 감소되었지만 SALM4 knock-out mice 경우 excitatory synapse number 증가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SALM1, SALM5 ASD, Schizophrenia, Intellectual disability 같은 신경질환과의 implication 보고되었고 최근 SALM1 knock-out mice 사용해 ASD, schizophrenia-like phenotypes 관찰한 연구가 보고되었습니다.


figure1.png


figure2.JPG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6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3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6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