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조유리
논문 Yuri Cho, Dohyeong Kwon and Suk-Jo Kang (2017) The Cooperative Role of CD326+ and CD11b+ Dendritic Cell Subsets for a Hapten-Induced Th2 Differentiation. Journal of Immunology, 199(9):3137-3146
한줄요약 The discovery of Th2-differentiating dendritic cell subsets.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2011Ralph SteinmanDendritic cell의 발견을 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 만큼 Dendritic cell은 우리 면역 시스템에 굉장히 중요한 면역 세포입니다. Innate adaptive immune system을 연결해 주는 가장 강력한 antigen presenting cell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형 면역 반응인 알러지 반응에 관여하는 수지상 세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 되어져 왔지만 그동안, in vitro 상에서 naïve CD4 T cellTh2로 분화시키는 수지상 세포를 밝히지 못하였습니다.


figure.png



    저희 실험실에서는 접촉성 피부염 모델에서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합텐, hapten을 이용하여 naïve CD4 T cellin vitro 상에서 Th2로 분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는 Dendritic cell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Flow cytometry, sorter 그리고 여러 Th2 reporter mouse등 다양한 면역학 툴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습니다. Th2 reporter mouse 그리고 여러 다양한 수지상 세포 결핍 마우스를 이용하여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 dendritic cell subset들을 sorter를 이용하여 분리한 뒤 naïve CD4 T cell과 배양하였습니다. 그 결과, 두 종류, CD326+그리고 CD11b+수지상 세포가 공존을 하여야만 효과적으로 Th2 분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Two hit model” 로 정리하여 보고하였습니다. Naïve CD4 T cell이 효과적으로 Th2로 분화를 하기 위해선 T cell이 두번의 signal을 받아야한다는 내용으로, 1) CD11b+DC그리고 2) CD326+DC2번의 signal이 합쳐져야 한다는 모델입니다.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Th2 분화에 관여하는 수지상 세포를 찾은 데 의의가 있고, 앞으로 RNA sequencing과 같은 분석을 통해 그 기전을 밝히면 Th2 분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원하는 수의 수지상 세포를 마우스에서 얻으려면 한번에 10마리 이상 그리고 굉장히 긴 시간 동안 sorting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Sortercondition에 따라 cell viability 등이 달라질 수 있어서 실험을 하는데 많이 힘들었습니다. 또한, 수지상 세포를 flow cytometry로 분석하는 방법 역시 여러 antibody를 사용해야 해서 조건을 잡는 법이 굉장히 까다로웠습니다. 우여곡절 끝 데이터와 기계 operating 능력(?) 을 갖추게 되어서 뿌듯하였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연구는 마라톤인 것 같습니다. 당장 보이지 않는 결과 때문에 포기하고 싶을 때가 생기지만 한결같은 꾸준함이 나중에 보상받는다고 이야기해 주고 싶습니다.



4. 나는 왜 생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어려서부터 왜 아토피가 생기는지 그리고 알러지는 무엇인지에 대해 항상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궁금증을 풀고 더 공부를 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였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항상 저희 학생들보다 많이 공부하고 노력하셨던 지도 교수님 강석조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알러지에 대해 연구하고 싶어했던 저에게 길을 열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함께하면서 너무나 즐겁고 의지가 많이 되었던 저희 실험실 멤버들에게도 고맙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4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2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6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95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25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22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