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김종원
논문 Jong-won Kim, Woosung Heu, Sukyo Jeong, Hak-Sung Kim (2017) Genetically functionalized ferritin nanoparticles with a high-affinity protein binder for immunoassay and imaging. Analytica Chimica Acta, 988:81-88. http://www.ncbi.nlm.nih.gov/pubmed/28916107
한줄요약 민감도 높은 면역분석을 위해 인공 항체 repebody를 결합한 ferritin 나노입자 개발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민감도와 특이성이 높은 표적 물질의 검출 및 분석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대개는 신호 발생 물질인 효소를 나노입자나 항체에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이용하고 있으나, 화학적 결합 방법은 불안정성, 불균일성, 그리고 결합력과 활성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생명과학 분야에는 다양한 나노입자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단백질로 구성된 나노입자는 생체적합성이 좋고 기능화 시키기 위한 유전적 혹은 화학적 변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 면역글로불린 G에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단백질 바인더를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기능화 된 ferritin 나노입자를 개발하였습니다. 인간 면역글로불린 G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repebody heavy-chain ferritin N-말단에 연결하였고, 최종적으로 24개의 subunit의 자가조립으로 이루어진 repebody-ferritin 나노입자를 완성하였습니다. Repebody-ferritin 나노입자는 단일 repebody보다 1000배 정도의 결합력이 향상되었고, 이는 나노입자의 multivalency 특성에 의한 것임을 표면 플라즈몬 공명 분석 (SPR)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형광 물질을 부착하여 western blot, cell imaging, FACS 등의 여러 면역분석을 수행하였고, repebody-ferritin 나노입자가 단일 repebody와 동일 질량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보다 더 강한 신호를 발생시켰음을 확인하였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ferritin이라는 나노입자는 다양한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으로 이 논문의 목적 외에도 다양한 기본 특성 테스트를 해 본 기억이 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대학원생으로서 연구활동을 하는 동안,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혼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해결하도록 해보세요. 개인적인 역량과 능력을 키우는 것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하지만 크고 작은 어떤 도움 없이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열정적인 연구 자세와 더불어 적극적인 소통을 하시길 바랍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처음에는 막연하게 생명과학과 관련된 전공을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출발했습니다. 학부때는 생체공학을 전공하면서 다양한 학문을 접하게 되었고,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생명과학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하고 싶어 대학원에서 연구활동을 하였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저의 연구활동에 항상 큰 도움을 주신 김학성 교수님과 연구실 동료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주변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위에 언급했지만, 사실 건강이 최우선인 것 같습니다. 본인만의 건강 관리를 통해 꾸준한 연구활동을 하시고, 많은 성과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5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2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6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2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28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24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