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최정윤
논문 Jung-Yun Choi, Kyu-Min Han, Dongkyu Kim, Beom-Hee Lee, Han-Wook Yoo, Jin-Ho Choi and Yong-Mahn Han*, (2017), Impaired Osteogenesis of Disease-Specifi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a CFC Syndrome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8(12), 2591 (https://www.ncbi.nlm.nih.gov/pubmed/29194391)
한줄요약 CFC 증후군 환자유래 역분화줄기세포의 초기 골격계 발달에서 SMAD2 신호전달체계의 역할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CFC 증후군은 ERK 신호전달체계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비정상적인 뼈 발달은 대부분의 CFC 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지만 ERK 신호전달체계의 이상과 골격계 관련 세포 분화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흥미를 가지고 연구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를 위해 확립한 CFC-역분화줄기세포 (CFC-iPSC) 로부터, CFC-중간엽줄기세포(MSC) 단계 까지는 정상적으로 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CFC-MSC로부터 CFC-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성숙이 지연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또한 BRAF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ERK 신호전달체계의 증가 뿐만 아니라, SMAD2 신호전달체계가 과활성화되고 SMAD1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되는 것을 CFC-조골세포 분화 과정에서 확인하였습니다. 흥미롭게도, CFC-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ERK SMAD2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하고 SMAD1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그 이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 반대로, 정상 대조군-MSC를 조골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ERK SMAD2 신호전달체계를 증가시키고 SMAD1 신호전달체계를 각각 감소시켰을 때, CFC-조골세포와 유사한 분화 지연 및 이상현상을 나타냄을 관찰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RK 신호전달체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SMAD2 SMAD1 신호전달체계의 이상이 CFC 증후군 환자의 비정상적인 골 발달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중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약물을 테스트하면서 처음으로 회복되는 결과를 확인했을 때의 희열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여러 시행착오와 실패의 과정을 거치며 힘들고 지친 와중에, 가설과 들어맞는 결과를 눈앞에서 확인하면서 추진력을 얻어 계속 앞으로 나아갈 수 있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논문을 쓰던 중에 해외 학회에서 본 연구내용에 대해 발표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학회장에서 실제 발표를 하고 질의응답을 하기까지 내가 정말 잘 해낼 수 있을까하는 두려움도 많았지만, 정말 많은 것들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여러분도 좋은 기회가 온다면 주저말고 도전하시어, 한단계 성장하는 계기로 삼으시면 좋겠습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한의사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에 대한 갈증이 있었습니다.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을 연결하는 하나의 고리가 되어보고자 하는 큰 뜻을 품고, 의과학대학원에 입학하여 줄기세포 연구를 하게 되었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교수님과 동료분들의 도움으로 연구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모두에게 감사하다는 말씀 전하고 싶습니다. 틈틈이 몸과 마음의 건강도 챙기면서 연구하시고, 좋은 성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7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9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23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7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