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최윤주
논문 Hyun-Ho Kyeong*, Yoonjoo Choi*, Hak-Sung Kim (2017) GradDock: Rapid Simulation and Tailored Ranking Functions for Peptide-MHC Class I Docking. Bioinformatics, btx589, https://doi.org/10.1093/bioinformatics/btx589 (*contributed equally)
한줄요약 계산 생물학 방법론을 통한 펩티드와 MHC-I 분자 결합 예측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그림.jpg

생명은 면역 체계라는 복잡한 방어 수단을 통해 자신을 보호합니다. 면역 체계의 핵심에는 자신자신이 아닌 것을 분자 단위에서 구분하는 대응 기제가 있습니다. 대조직적합성복합체(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는 세포 내 분자 중 일부를 세포 표면에 게시해 세포 내의 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중요한 분자로, 이 중 MHC-I은 생명체에서 가장 많은 다양성을 가진 단백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체 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진단, 장기 이식,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백질이지만, 무한에 가까운 다양성 때문에 실험적 방법을 통한 연구가 지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radDock이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MHC-I과 펩타이드 간의 결합을 예측하고자 하였고, 기존의 방법론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단백질 치료제나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를 할 때 응용될 수 있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이 연구는 처음엔 저와 직접적인 연관성 없이 카이스트에서 경현호 박사와 김학성 교수님이 독자적으로 수행하던 연구였습니다. 당시 저는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계산 생물학 방법론을 통한 단백질 치료제의 면역원성 제거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었고, 경현호 박사의 연구와 제 연구 간에 연관성이 깊다는 걸 알게 되어 공동 연구 형식으로 연구가 진행, 완성되었습니다. 이 연구엔 강력한 컴퓨터의 계산력과 대용량의 데이터가 만들어졌는데, 수백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단순히 네트워크상으로 보내는 것으로도 수일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생명 과학에 대량의 자료가 쌓이면서 유의미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계산 방법론이 많이 개발 및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통적 실험적 방법론을 통한 검증은 여전히 필수적인 사항이지만, 복잡한 생명 현상의 연구에 계산 생물학은 필수가 될 것입니다.

 

4. 나는 왜 명과학자가 되었는가?

개인적으로 저는 학부 때 철학자를 꿈꾸던 철학도였고, 이후 (생물학을 제외한!) 여러 다른 전공을 거쳤기에 스스로 생명과학자라고 생각해보질 않았습니다 ;)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연구에 참여한 사람이야 말할 것도 없고) 밤낮없이 고생해준 GPU와 다트머스 대학의 Anthill 컴퓨터 클러스터에 감사를 표합니다.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3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0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4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73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9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15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