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박지연
논문 Park J¶, Cho Y¶, Yang D, Yang H, Lee D, Kubo M, Kang SJ. (2023) The transcription factor NFIL3/E4BP4 regulates the developmental stage-specific acquisition of basophil function. J Allergy Clin Immunol online ahead of print. (doi: 10.1016/j.jaci.2023.09.029)
한줄요약 새로운 호염구 전구체의 발견과 호염구 발달을 조절하는 NFIL3의 역할 규명

박지연.jpg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사이토카인을 비롯해 다양한 염증 유도 물질들을 분비한다.

호염구의 고유 기능을 획득하는 말단 분화과정과 이를 조절하는 인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는데, 마우스 골수 내에서 호염구 전구세포가 최종 분화단계의 성숙한 호염구로 분화하는 과정 중간에 위치한, 새로운 전구세포를 발견하여 ‘이행 호염구(transitional basophil, tBaso)’로 명명하였다. 해당 발견을 통하여 호염구의 분화과정에서 세포분열 및 주기 조절과 호염구의 고유한 기능의 조절에 관계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분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호염구의 말단 분화단계에서 NFIL3 단백질이 IgE 수용체 활성화에 따라 유도된 호염구의 기능적 특징을 부여하는 중요 인자임을 규명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호염구 특이적으로 NFIL3결손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호염구NFIL3 단백질이 아토피성 피부 질환의 염증 반응을 조절함을 밝혔다.

이행 호염구가 성숙 호염구에 비해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이 뛰어남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사이토카인 자극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제2형 면역반응 사이토카인을 생성함을 밝혔다. 이러한 차별적 사이토카인 생성 능력은 호염구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것으로, 추후 호염구 매개 질환에서 그 작용기전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새로운 호염구 전구세포의 발견과 호염구의 분화 조절인자에 관한 연구 개요

 


  1.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1
    Read More
  2.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6
    Read More
  3.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92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35
    Read More
  5.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4
    Read More
  6.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203
    Read More
  7.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