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노수민
논문 Soo Min Noh, Seunghyeon Shin and Gyun Min Lee (2018) Comprehensive characterization of glutamine synthetase-mediated sel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recombinant CHO cells producing monoclonal antibodies. Scientific Reports, 8 (1): 5361 (doi:10.1038/s41598-018-23720-9)
한줄요약 GS/MSX시스템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주 만들기 완전 정복
figure.jpg

<GS/MSX시스템을 이용해서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주를 만드는 과정>



1. 배경지식

  바이오 의약품 (치료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생산하고자 , 간단한 모양을 가진 단백질은 미생물이나 효모에서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형태의 단백질 의약품은 포유류 세포를 사용해야지만 인간 몸에서 제대로 활성을 가질 있습니다. 중에서도, 세계적인 매출을 기록하는 의약품의 절반 이상은 CHO (Chinese hamster ovary) 세포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CHO 세포에서 바이오 의약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DHFR (dihydrofolate reductase) / MTX (methotrexate) 시스템 또는 GS (Glutamine synthetase) / MSX (methionine sulfoximine)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는데, MTX DHFR inhibitor이고 MSX GS inhibitor입니다. 숙주세포주에 DHFR 또는 GS 유전자와 우리가 원하는 타겟유전자가 함께 삽입된 plasmid 넣어준 MTX또는 MSX selection 진행하면, 우리가 원하는 타겟 유전자 (+DHFR 또는 GS 유전자) 들어간 세포만 살아남게 된다는 원리입니다.

 

  DHFR/MTX 시스템은 옛날부터 연구용으로 많이 써왔던 방법으로, 오랜 데이터가 누적되어있어서 시스템의 많은 특징들이 알려져 있지만 연속적인 유전자 증폭 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세포주 구축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GS/MSX 시스템의 경우 현저하게 짧은 구축시간이라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들어서 산업계와 학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연구 역사 때문에 특징이 분석되어있지 않은 산업계에서만 비공개적인 지식이 공유되는 상황이었습니다.

 

 

2. 질문

  GS/MSX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세포주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이며, GS/MSX시스템 DHFR/MTX 시스템처럼 순차적인 selection 가했을 때도 gene amplification 일어날 것인가?

 

 

3. 발견

  본 논문에서는 GS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가지 숙주세포주 (CHO-K1 GS knockout CHO-K1) 다양한 MSX 농도 (0, 25, 50 μM MSX) 사용하여 단일step selection과정을 이용, 항체 생산세포주를 구축하였으며 조건 gene copy number, mRNA level, metabolites, 아미노산, 생산안정성 등을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GS/MSX시스템을 이용한 세포주 구축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GS knockout 세포주에 0μM 또는25μM MSX 적용하였을 가장 효과적이었음). 단일step selection 진행하였을 gene copy number productivity 또렷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025 또는 050 μM MSX 조건으로 추가적인 amplification 시도하였을 때도 gene copy number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GS/MSX시스템은 유전자 증폭을 기본으로 하는 DHFR/MTX시스템과는 다른 방법으로 고발현 세포주를 만든다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4. 후속

  이번 연구에서 0 25 또는 0 50 μM 낮은 농도의 MSX에서는 gene amplification 시도해보았지만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의 gene amplification 시도해보지 않았습니다. 이는 높은 농도의 MSX 생산성의 증가에 크게 필요하지 않다는 기존 연구결과 최근 트렌드에 의한 선택이었지만, 높은 농도에서 amplification 시도했을 때도 gene amplification 일어나지 않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답할 없었습니다. 또한 세포주 구축에 있어서 발현 단백질의 종류, clonal variation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할 없기 때문에, 이번 논문의 발견이 얼마나 범용적으로 적용될 있을지 다른 연구자의 결과가 궁금합니다.


 

5. 소감

  생물실험이라는 것은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근사해 보일지 모르겠지만, 막상 직접 실험을 해보면 굉장히 노동집약적인 부분이 많은 같습니다. 특히나 이번 논문은 characterization이라는 제목을 가진 논문이라서 많은 n수와 오랜 관찰이 동반되는 실험이 많았기 때문에, 50여개에 달하는 세포를 생산안정성을 보기 위해 3개월 이상 배양하며 이게 하는 짓인가 싶을 때도 많았습니다. 때마다 지친 마음을 다잡으며 생각했던 것은 노력 (지적 노력 + 육체적 노력) 시간은 나를 배신하지 않을 것이라는 바램이었습니다. 인생에 있어 노력과 결과가 정비례 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최소한 대학원 생활에는 바램을 적용할 있는 같습니다.

 

 

6. 기타

  늘 저를 서포트 해주셨던 이균민 지도교수님과 여러 가지 디스커션을 함께하였고 정신적으로도 많은 버팀목이 되어주었던 연구실 멤버들에게 감사합니다. 지적 호기심이 충만하지 않은 사람에게 대학원이라는 곳은 그다지 추천하고 싶은 곳은 아닙니다. 하지만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으면 생각보다 많은 서포트를 해주는 곳이기도 하고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앞으로 나아간다면 언젠가 결실을 맺게 되는 것은 분명한 곳입니다.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는 학부 후배들은 보다 신중하게 결정하였으면 좋겠고, 대학원에 진학한 후배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했던 이유와 초심을 되새기며 즐겁게 연구하고 의미 있는 결실 얻으시길 바랍니다.

  1. 조유리(분자세포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2011년 Ralph Steinman이 Dendritic cell의 발견을 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그 만큼 Dendritic cell은 우리 면역 시스템에 굉장히 중요한 면역 세포입니다. Innate 와 adaptive immune sys...
    Date2018.01.03 By생명과학과 Views7246
    Read More
  2. 정선혜(세포분열분화발생 실험실, 임대식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비알콜성지방간)/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비알콜성지방간염)은 이름 그대로 알코올섭취와 상관없이 생기는 지방간 또는 지방간염으로서, 비만인구 ...
    Date2018.03.05 By생명과학과 Views8118
    Read More
  3. 유다영(동물세포공학 연구실, 이균민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mammalian 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 의약품의 70%는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를 이용합니다. Glutamine synthetase (GS) / Methionine sulfoximine (MSX) 시스템은 CHO 세포에서 단백질 생산을 ...
    Date2018.01.29 By생명과학과 Views8536
    Read More
  4. 권도형 (분자세포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생산뿐만 아니라, 칼슘의 저장소, Apoptosis, lipid 합성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소기관으로, 에너지 상태 외에도 다양한 ion의 흐름, 외부 신호,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dynamic...
    Date2017.09.20 By생명과학과 Views9458
    Read More
  5. 이한솔 (구조생명과학 연구실, 오병하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조그마한 우리의 세포 속에는 2m가 넘는 기다란 DNA가 들어있습니다. 이 DNA들이 헝클어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단단하게 응축(condensation) 시켜주는 단백질이 존재하...
    Date2017.08.21 By생명과학과 Views10375
    Read More
  6. 노수민(동물세포공학 실험실, 이균민 교수님)

    <GS/MSX시스템을 이용해서 바이오의약품 생산세포주를 만드는 과정> 1. 배경지식 바이오 의약품 (치료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고자 할 때, 간단한 모양을 가진 단백질은 미생물이나 효모에서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복잡한 형태의 단백질 의약품은 ...
    Date2018.05.09 By생명과학과 Views13776
    Read More
  7. 이승준_(분자신경생물학 연구소, 김은준 교수님 )

    1. 배경지식 자폐증(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s)은 뇌 발달장애의 한 종류로서, 세계 인구의 약 2%가 앓고 있습니다. 사회성 및 인지능력 저하가 주요 증상으로 꼽히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전에 저희 연구실에서...
    Date2021.09.01 By생명과학과 Views945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