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전종철
논문 Jongcheol Jeon, Robert K. McGinty, Tom W. Muir, Jung-Ae Kim and Jaehoon Kim (2018), Crosstalk among Set1 complex subunits involved in H2B ubiquitylation-dependent H3K4 methylation. Nucleic Acids Research. doi: 10.1093/nar/gky920 {e-pub ahead of print}
한줄요약 진핵세포의 히스톤 H3K4 메틸화 조절의 새로운 기작을 제시하다.
figure.png



<효모 Set1 complex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기작>



1. 배경지식

   핵산인 DNA 단백질인 히스톤은 염색체의 기본 구성인자인 nucleosome 이룹니다. DNA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생명현상들 예컨데 DNA replication, DNA repair, DNA recombination, RNA transcription 등은 많은 경우에 해당 기능을 담당하는 분자들이 DNA 얼마나 접근할 있는지에 따라 조절됩니다. 이러한 DNA 대한 접근성 (DNA accessibility)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 하나는 바로 DNA 붙어 있는 히스톤에 일어나는 여러 종류의 modification 입니다. 대표적으로 methylation, acetylation, phosphorylation, ubiquitylation 등이 있으며 어떤 종류의 modification DNA accessibility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며 상황에 따라서는 종류의 modification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역할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연구하고 있는 히스톤 H3K4 methylation 히스톤 H3 단백질의 번째 lysine 잔기(K4) 일어나는 methylation 으로 활발하게 transcription 일어나고 있는 염색사 상에 많이 위치하며 transcription 일어나는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H3K4 methylation 잘못 조절될 경우 암을 포함한 여러 질병들이 발생합니다. H3K4 methylation 가장 단순한 진핵세포인 효모로부터 인간에 이르기까지 보존되어 있으며 흥미롭게도 히스톤 H2B 일어나는 ubiquitylation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효모에서는 H2B ubiquitylation H3K4 methylation 일어나는데 필수적이고 인간의 경우에도 H2B ubiquitylation H3K4 methylation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히스톤 modification 간의 상호작용을 히스톤 ‘cross-talk’이라고 지칭하며 DNA accessibility 조절하는 방식에 깊은 다양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질문

   배경지식에서 연급했던 H2B ubiquitylation 의존적인 H3K4 methylation 가장 처음 밝혀진 히스톤 cross-talk이지만 아직 많은 부분이 의문으로 남아있습니다. 특히 ‘H2B ubiquitylation 어떤 기작을 통해 H3K4 methylation 활성화시키는가?’ cross-talk 밝혀진 2000 초부터 지금까지 가장 핵심적인 질문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저는 단순하지만 하나의 H3K4 methyltransferase 가지고 있고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가장 나타나는 장점을 가진 효모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문의 답을 찾고자 하였습니다.


3. 발견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화학적 기법을 통해서 효모의 H3K4 methylation 담당하는 Set1 complex 여러 부위가 어떤 기작을 통해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수행하는지를 밝힙니다. 기본적으로는 8 개의 구성인자 (Set1, Bre2, Swd1, Spp1, Swd2, Swd3, Sdc1, Shg1) 이루어진 Set1 complex 순수정제하고 H2B ubiquitylation 특이적으로 표지한 nucleosome 재조합하여 마련하였고 이를 시험관 메틸화 반응에 이용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쉽게 밝힐 없었던 Set1 complex 부분들의 기능에 대해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배제하고 세밀한 연구를 진행할 있었습니다. 기존에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던 Set1 complex 구성인자인 Spp1 domain 대해 연구하여 PHDL이란 domain 효모에서 제안하였고 domain Set1 complex 여러 구성인자들 간의 결합을 매개하고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중요함을 보였습니다. Spp1 없는 조건하에서 Set1 특정 부분에 대한 결손을 유도하여 Set1 n-terminal 부분이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기능함을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Spp1 없을 때에도 Set1 complex 가지는 H3K4 methylation 활성에 대해 설명할 있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고 기존에 밝혀져 있지 않았던 Set1 n-terminal 부분의 새로운 기능을 보였습니다. 또한 Spp1 다른 구성인자인 Swd1 인위적 fusion 정제한 Set1 complex 경우 H2B ubiquitylation 없는 조건에서도 H3K4 methylation 일어날 있다는 점을 발견했는데 이는 논문의 가장 중요한 발견으로 Set1 complex H2B ubiquitylation Set1 complex 구성인자 간의 conformation 영향을 주어 methylation 활성화한다는 기작을 지지해 줍니다. 


4. 후속

   이번 연구를 수행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점은 Set1 complex H2B ubiquitylation 지닌 nucleosome 사이의 결합을 규명하지 못한 입니다. Set1 complex nucleosome 결합 방식을 이해하고 생화학적 연구들을 연결할 있다면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분자기작에 대한 깊은 지식을 얻을 있을 입니다.


5. 소감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여러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게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과정에서 가설이 맞는 경우도 있고 예상한 바와 다른 경우도 있었습니다. 가설이 틀리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 또한 중요하고 많은 배움이 있다는 점을 이번 연구를 통해 배울 있었습니다.


6. 기타 

   실험실 생활과 함께 시작하여 함께 끝마친 연구를 담고 있어 애착이 가는 논문입니다. 논문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함께 고민해주시고 도와주신 교수님과 김정애 박사님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즐겁게 실험실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실험실 구성원분들께 감사합니다.


  1. 인선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RNF20/40에 의한 열충격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1. 배경지식 진핵생물에서 DNA는 히스톤 단백질과 함께 ‘뉴클레오좀’이라는 단위로 존재합니다. 히스톤에는 Methylation, Acetylation, Phosphorylation, Ubiquitylation 등의 다양한 번역 후 수정(Post-...
    Date2019.02.07 By생명과학과 Views2733
    Read More
  2. 김성수(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좌),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우)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좌),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우)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
    Date2020.02.03 By생명과학과 Views2733
    Read More
  3. 정지혜(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 조병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단감의 경우 실제로 수확 후, 2주 후부터 연화가(물러짐) 진행되어 1달이 지나면 대부분의 단감이 연화되어 먹을 수 없습니다. 이렇듯 단감이 상품성을 가질 수 있는 기간은 한정적 임에도 불구하고, 단감을 재...
    Date2018.01.08 By생명과학과 Views2949
    Read More
  4. 조혜연 & 김무준 (신경회로망 연구실, 한진희 교수)

    <공포 기억 회상 시에 기억과 관련 없는 세포가 단 1%라도 활성화 되면 기억 회상 능력이 떨어진다.> 1. 배경지식 해마의 치사회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저장하는 뇌 영역이다. 치매 환자들이 치상회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활동을 보인다. 옵신 단백질을 신...
    Date2018.07.17 By생명과학과 Views3043
    Read More
  5. 조혜림 (크로마틴 생물학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배경 지식 유전체는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 특이적인 3차원 구조로 응축되어 있습니다. 최근 유전체가 지닌 3차원 구조의 기능적인 특징에 관한 연구 내용이 밝혀짐에 따라, 유전체의 3차원 구조가 어떻게 조절되고 조직화 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Date2021.12.29 By생명과학과 Views3080
    Read More
  6. 송요셉(시스템 및 합성 생물학 연구실, 조병관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화석연료는 에너지 연료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정유시 발생하는 석유화학제품도 제약, 섬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 고갈 문제 및 사용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
    Date2018.02.05 By생명과학과 Views3114
    Read More
  7. 서호규(크로마틴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이 논문은 제 직전 논문의 후속 연구논문입니다. 이전 논문에서 Proteasome이 fission yeast centromere에서 heterochromatin spreading을 막는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것을 밝혔고, 이번 논문에서는 이러한 prot...
    Date2018.03.13 By생명과학과 Views3118
    Read More
  8. 변현종(카이스트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미생물공학실, 안정훈 교수님) -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학부생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타입 I 분비 시스템(T1SS) 중 “폴리펩타이드를 수송하는 ABC 수송체”들의 단백질 분비 특성에 관해 연구한 논문입니다. 우리는 Pseudomonas fluorescens 박테리아가 보유한 ABC 수송체인 “TliDEF계”를 모델 시...
    Date2018.02.05 By생명과학과 Views3212
    Read More
  9. 정영석 (시스템신경과학 연구실, 정민환 교수님)

    1. 배경지식 해마는 우리 뇌의 대뇌 피질 안쪽, 내측 측두엽에 위치하는 뇌 구조로 새로운 사실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데에 중요한 뇌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마가 손상이 되면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데, 실제로 치매환자들의 해마가 정상인에 비...
    Date2018.07.04 By생명과학과 Views3216
    Read More
  10. 정창욱, 하승민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생후 7~21일 동안 memantine을 투여한 경우 Shank2 결손 생쥐의 사회성이 개선된다.> 1. 배경지식 자폐증은 어린 나이에 발병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약 1%의 유병률을 보이며 최근 점점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Date2019.04.03 By생명과학과 Views3267
    Read More
  11. 이윤정 (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연구실, 송지준 교수님)

     <그림. MRG15 binding to ASH1L releases the autoinhibitory loop, and activates ASH1L histone methyltransferase activity> 1. 배경지식 DNA는 히스톤 H2A, H2B, H3, H4가 각각 한 쌍씩 8개로 결합해 이루어진 octamer에 감겨, 크로마틴의 가장 기본 단...
    Date2019.03.28 By생명과학과 Views3274
    Read More
  12. 전종철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효모 Set1 complex 의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기작> 1. 배경지식 핵산인 DNA와 단백질인 히스톤은 염색체의 기본 구성인자인 nucleosome을 이룹니다. DNA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생명현상들 예컨데 DNA replication, DNA repair, DNA ...
    Date2018.10.24 By생명과학과 Views3327
    Read More
  13. 박하람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1. 배경지식 시냅스는 다양한 단백질의 집합체입니다. 시냅스의 정상발달을 위해서는 단백질들이 적재적소에 발현하여 단백질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있어야합니다. 시냅스 형성 초기에 이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에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존재합...
    Date2020.04.30 By생명과학과 Views3332
    Read More
  14. 서호규(크로마틴 연구실, 이대엽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Proteasome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수십 개의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체로서 세포 내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기능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체내 전체 단백질의 1%를 혼자 담당할 정도로 매우 많은 pr...
    Date2018.03.13 By생명과학과 Views3397
    Read More
  15. 최원영(분자종양유전학 연구실, 임대식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Hippo pathway의 effector protein인 YAP과 TAZ의 활성이 직접적으로 위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동물(마우스)모델로 증명하고, 분자적으로는 YAP activation이 MYC을 upregulation 하는 기전을 통해 암이 발...
    Date2018.04.30 By생명과학과 Views3466
    Read More
  16. 최지헌 (신경발생학 연구실, 김진우 교수님)

    <그림. 망막 전구세포에서의 mTORC1 과활성이 세포주기 진행 및 신경세포 발생을 촉진하다.> 1. 배경지식 척추동물의 신경계는 발생과정에서 신경전구세포 (neural progenitor cell)가 분열(proliferation)을 반복하며 점차 신경세포와 교세포로 분화(differe...
    Date2018.07.10 By생명과학과 Views3474
    Read More
  17. 신혜림 (세포신호전달 연구실, David Helfman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암세포의 전이 및 산포는 세포 이동 및 세포 간 응집을 포함한 과정으로부터 비롯된 결과입니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 형태의 변화를 수반하며, 액틴 또는 이와 결합하는 다양한 단백질의 변이가 전이과정에서 ...
    Date2017.09.04 By관리자 Views3528
    Read More
  18. 김나연(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실험실, 허원도 교수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Protein oligomerization is an important molecular mechanism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that control numerous cellular events. We investigated the property of cryptochrome2 (CRY2) from Arabidops...
    Date2017.11.13 By생명과학과 Views3536
    Read More
  19. 정현진 (바이오이미징 및 광유전학 실험실, 허원도 교수님)

    <광활성 Flp을 개발, 마우스 머리에 LED를 비추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 1. 배경지식 유전자 기능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유전자 변형 실험모델을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 비용, 노력 등이 소요됩니다.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Date2019.01.24 By생명과학과 Views3592
    Read More
  20. 김정진(행동 유전학 실험실, 김대수 교수)

     ▷인터뷰 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우리 뇌 안에는 무수한 억제성 회로가 있지만, 그들의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본 연구팀은 기저핵에서 나오는 억제성 신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양한 운동 신호를 처리하는가 ...
    Date2017.10.12 By생명과학과 Views36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