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유태근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유태근 박사 >

 

고정된 3차원 구조가 없는 상태로 존재하는 비정형 단백질((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은 알츠하이머파킨슨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부터 암심혈관계 질환대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따라서이들을 신속하게 검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면 조기 진단을 통해 질병의 진행을 막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병리기전을 밝히고 나아가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비정형 단백질을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단백질을 디자인하는 데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단백질은 특정한 3차원 구조를 가지며 생체 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실제 인간 단백질 중 44%는 상황에 따라 구조가 변화는 비정형 단백질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 일반 단백질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그러나비정형 단백질은 고정된 구조가 없어서 이들 단백질의 분석과 기능 연구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비정형 단백질이 단백질 2차 구조인 베타 스트랜드(β-strand)를 형성하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특정 서열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경우에만 신호를 방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센서 단백질 디자인 방법을 정립하였다.

그림 1. (상단, 좌) 비정형 단백질과 결합과 동시에 형광신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센서 단백질 모식도. 베타 통 구조의 녹색 형광단백질에서 한 개의 베타시트를 제거한 뒤 해당 위치에 비정형 단백질이 베타 시트 형태로 결합하면 발색단의 형광파장이 변화되도록 설계. (상단, 우) 센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의 특정 서열 조각이 결합된 복합체의 결정 구조. (하단, 좌) 다양한 농도의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농도에 대한 센서 단백질의 형광 파장대 변화. (하단, 우) 센서 단백질을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와 성상세포 세포막 사이의 상호작용 실시간으로 추적

< 그림 1. (상단, 좌) 비정형 단백질과 결합과 동시에 형광신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센서 단백질 모식도. 베타 통 구조의 녹색 형광단백질에서 한 개의 베타시트를 제거한 뒤 해당 위치에 비정형 단백질이 베타 시트 형태로 결합하면 발색단의 형광파장이 변화되도록 설계. (상단, 우) 센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의 특정 서열 조각이 결합된 복합체의 결정 구조. (하단, 좌) 다양한 농도의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농도에 대한 센서 단백질의 형광 파장대 변화. (하단, 우) 센서 단백질을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와 성상세포 세포막 사이의 상호작용 실시간으로 추적 >

 

연구팀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의 베타 스트랜드 하나를 제거한 후비정형 단백질의 특정 서열이 결합하면 형광 단백질 발색단(chromophore)의 파장 스펙트럼이 변화하는 센서 단백질을 컴퓨터 및 방향적 진화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그림 1)

연구팀은 대표적 비정형 단백질의 하나로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세포 내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단백질을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영상화할 수 있었다기존에는 비정형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비정형 단백질 자체가 크게 변형되어 실제 비정형 단백질의 분석과 기능 연구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그러나이번에 개발된 센서 단백질은 단순히 비정형 단백질과 섞어줌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비정형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어서 향후 비정형 단백질 분석 및 관련 질병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2. 표지 논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JACS Au)'에 지난 10월 26일 자로 출판됐으며,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그림 2. 표지 논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JACS Au) >

 

생명과학과 유태근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하고 이진수 박사 (허원도 교수 연구실)와 윤정민 박사(송지준 교수 연구실)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 (JACS Au)'에 지난 10월 26일 자 3권 11호에 출판됐으며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그림 2) (논문명 : Engineering of a Fluorescent Protein for a Sensing of an 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 through Transition in the Chromophore State) 

저자인 유태근 박사는 고정된 구조가 없는 비정형 단백질은 일반적 단백질에 비해 센서 단백질의 디자인과 개발이 매우 어려운 표적이었다라며 이번 연구가 비정형 단백질의 분석과 관련 병리기전의 연구에 새로운 방법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4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4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513
293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476
292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462
291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239
290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240
289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516
288 [허원도 교수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년도 정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3.12.04 119
287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559
286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3550
285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5399
284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3195
283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354
282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2927
281 강창원 교수 교무처장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8.03 12418
280 강창원 교수, "디아이 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2.05.22 10829
279 강창원 교수, (통합)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0년도 회장 선임 과사무실 2009.11.05 12436
278 강창원 교수, 2010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과사무실 2010.12.13 11454
277 강창원 교수, 2010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선정! 과사무실 2010.11.08 11778
276 강창원 교수, 2016년 제2회 바이오유공자 장관표창 수상 생명과학과 2016.11.10 12099
275 강창원 교수, KT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6 12180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