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앵커멘트]

손과 발이 썩어 들어가는 당뇨병 합병증을 치료하는 획기적인 신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실험을 앞두고 있어 오는 2008년쯤이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전에서 이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2억 명 이상이 앓고 있는 당뇨병.
당뇨병은 말기 환자의 10%에서 15%가 손과 발이 썩어 들어가는 합병증, 이른바 '족부궤양'으로 손과 발을 절단해야 하는 난치병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마땅한 치료제가 없어 수많은 환자들이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 고규영 교수팀이 국내 벤처기업과 공동으로 당뇨병 족부궤양을 치료할 수 있는 단백질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족부궤양의 원인이 미세혈관이 망가져 치료가 되지 않은 것으로 건강한 혈관을 만들면 족부궤양을 치료할 수 있다는 데 착안했습니다.

[인터뷰:고규영,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건강한 혈관을 만들 수 있는 치료단백질 콤프앤지원을 개발해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연구팀은 혈관생성을 촉진시키는 치료단백질 '콤프앤지원'(COMP-Ang1)을 개발해, 이 단백질이 당뇨병 합병증을 획기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동물을 통해 밝혀냈습니다.
정상적인 쥐의 경우 한 달이면 치료되는 상처가 당뇨병이 걸린 생쥐는 두 달이 넘어도 치료가 되지 않지만 치료단백질을 투여하면 두 달 만에 상처가 완쾌된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기자]
이번에 개발된 당뇨병 치료제는 독성과 임상실험 등을 거쳐 오는 2008년쯤 상용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조정현, 제넥셀세인(주)]
"2억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들을 감안하면 시장 규모는 수 조원에 이를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례적으로 세계적 학술지 미국국립학술원회보지 일명 'PNAS'에 게재돼 당뇨병 합병증 '족부궤양'의 임상적 실용성에 대한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있습니다.

YTN 이정우[ljwwow@ytn.co.kr]입니다. [YTN TV 2006-03-14 07: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82
341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885
340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9
339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087
338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485
337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3980
336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417
335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391
334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746
333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4994
33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720
33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12
330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510
32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12
32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48
327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479
32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205
32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381
324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461
32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73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