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화학과 임미희 교수,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화학과 박기영 교수, 화학과 한지연 박사

< (왼쪽부터) 화학과 임미희 교수,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화학과 박기영 교수, 화학과 한지연 박사 >

 

우리 대학 화학과 임미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 화학과 박기영 교수 연구팀이 단백질 기반 신경전달물질인 소마토스타틴(성장 억제 호르몬)이 알츠하이머 발병 메커니즘에서 독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역할을 발굴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케미스트리(Nature Chemistry, Impact factor: 24.427, 화학 분야 상위 3.9%)'에 7월 게재됐다. (논문명Conformation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native neuropeptide somatostatin occur in the presence of copper and amyloid-β) 

전 세계적으로 치매 인구는 5,000만 명에 육박하고그중 알츠하이머병은 가장 흔한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언어 구사 능력과 기억력 등 전반적인 사고 능력 손상이 대표적인 증상으로 여겨진다장노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기대 수명 연장에 따라 치료제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현재까지 그 발병 원인조차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실상이다. 

아밀로이드 가설에 따르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침적은 신경세포의 사멸을 일으킨다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는 섬유화를 거쳐 노인성 플라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최근 연구에 따르면 특히 알츠하이머 환자의 플라크에서 고농도의 전이 금속이 검출된다이는 금속 이온과 아밀로이드 베타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금속 이온은 아밀로이드 베타와 상호작용해 단백질의 섬유화를 촉진하며특히 산화환원 활성 전이 금속인 구리의 경우에는 활성 산소를 다량 생성해 세포 소기관에 심각한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킬 수 있다.

그림 1. 알츠하이머병 발병 요인에 의한 소마토스타틴의 기능 전환

< 그림 1. 알츠하이머병 발병 요인에 의한 소마토스타틴의 기능 전환 >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과 전이 금속은 시냅스(신경세포 접합부)에서 신경전달물질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으나아직 이러한 병적 요인들이 신경전달물질의 구조 및 신호 전달 기능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자세히 연구된 바 없다. 

연구팀은 구리아밀로이드 베타금속-아밀로이드 베타 복합체에 의해 단백질 기반 신경전달물질인 소마토스타틴이 자가 응집되는 동시에 세포 신호 전달과 같은 본연의 기능을 잃는 대신금속-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과 독성을 조절한다는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화학과 한지연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구리와 소마토스타틴의 배위 구조 후보군을 분자적 수준에서 밝혀 응집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소마토스타틴이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금속의 유무에 따라 규명했다더 나아가 실제 신경모세포종에서 소마토스타틴의 수용체 결합세포막 상호 작용세포 독성 변화를 최초로 입증하여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림 2. 소마토스타틴의 신경전달물질 기능 상실

< 그림 2. 소마토스타틴의 신경전달물질 기능 상실 >

 

그림 3. 치매 환경 내 소마토스타틴의 새로운 기능

< 그림 3. 치매 환경 내 소마토스타틴의 새로운 기능 >

 

임미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 기전 내 신경전달물질의 새로운 역할을 규명한 데에 큰 의의가 있다고 말하며, “이 연구 성과는 노화에 의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적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하고향후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KAIST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23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생명과학과 출신 곽유상 박사 ... 美 대학교수 됐다 과사무실 2007.07.31 15174
75 2007년 국가지정 연구실 선정.. 최길주 교수 연구실 과사무실 2007.07.20 13836
74 초파리의 일주기 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견... 최준호 교수 연구팀 과사무실 2007.07.20 14132
73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3070
72 서연수교수 도약연구지원사업 선정 과사무실 2007.04.23 13758
71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5762
70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6026
69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7.03.29 11838
68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4873
67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11038
66 박태관 교수 Bioconjugate Chemistry 편집위원 선임 과사무실 2007.01.02 13414
65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4513
64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3399
63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399
62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8365
61 세계의 벽 사뿐히 넘을 잠재력 가득 가능성 무한대… 미래 한국의 대들보 과사무실 2006.10.23 13733
60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407
59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4323
58 박태관 교수 나노연구혁신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 과사무실 2006.09.04 11857
57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271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