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웹포스터.

[라포르시안] 제약바이오 부문의 세계적 석학과 미국의 대표적인 산학연계 프로그램 관계자 및 현지 제약바이오 스타트업들이 온라인으로 한 자리에 모인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 KPBMA)는 오는 31일과 4월 1일 양일간 오전 8시 30분부터(한국시간 기준)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이하 LSC)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LSC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등의 최신 연구동향과 MIT 스핀오프 스타트업의 혁신 기술을 소개해 산업계의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촉진하자는 취지로 마련, 올해 두 번째를 맞이했다.

‘종양학’(Oncology)과 ‘신경학’(Neurology/CNS) 부문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는 이번 행사에는 각 분야 세계적인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선다. 또 MIT 연계 스타트업을 통한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컨퍼런스 첫 날인 오는 31일은 ▲유전자 변이 마우스 모델을 활용한 암 면역학 연구(타일러 잭스 MIT 교수) ▲중개연구를 통한 신약개발 가속화(고영일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등 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모듈러스 디스커버리, 약물의 미래를 밝히다(로이 키무라 모듈러스 디스커버리 최고경영자) ▲(가제)잘 조직된 연구와 과학을 통한 신약개발 가속화(앤드류 라딘 아리아 파마슈티컬 최고경영자) ▲케어어크로스, 전 세계 암환자를 잇는 다리(타노스 코스미디스 케어어크로스 최고경영자)를 주제로 MIT 연계 스타트업의 발표가 이어진다.

타일러 잭스 MIT 데이비드 코흐 연구소 생물학 교수는 200편 이상 논문을 발표한 암 유전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자로 알려졌다. 

타일러 잭스 교수는 유전자 변이 마우스모델(GEMM)을 개발하고 2001년부터 20년간 MIT 암 연구센터(현재 코흐 통합 암 연구소) 총책임자를 역임했다.

고영일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기초연구와 임상치료를 중개하는 중개의학자로도 홛동 중이다. 전문분야는 양성혈액질환, 림프계 혈액암이며, 국제종양유전체 컨소시엄(ICGC) 참여를 시작으로 암유전체를 분석·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둘째 날인 4월 1일에는 ▲사회적 행동을 만들어내는 신경-면역 상호작용(글로리아 최 MIT 교수)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티드(ASO) 활용 T-타입 칼슘채널 차단에 의한 운동장애 역전(김대수 카이스트 교수)을 주제로 발표가 예정돼 있다.

이어 ▲신경 질환에 대한 혁신적인 치료법(재스폴 싱 인테론랩스 최고경영자) ▲부드러운 이식형 뇌-기계 상호접속(폴 르 플로크 아소프트 최고경영자) ▲키노비, 신약 개발을 촉진하는 생물물리학 프론티어(조셉 아자렐리 키노비 최고경영자)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된다.

MIT 뇌·인지과학 교수이자 피코우어(Picower) 학습·기억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글로리아 최 교수는 면역계와 뇌의 상호작용 및 신경 발달, 신경 회로 기능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는 카이스트 행동유전학 연구실 교수로도 활동 중인 김대수 교수는 세계 3대 운동질환 중 하나인 근긴장이상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규 약물을 개발했고, 이를 바탕으로 신약개발회사인 뉴로토브를 창업했다.

원희목 회장은 “이번 컨퍼런스에는 세계적인 석학과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대거 참여했다”며 “협회는 MIT 혁신 생태계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의 첨단 트렌드를 읽어내고 활발한 오픈이노베이션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온라인 ZOOM으로 진행하는 이번 컨퍼런스는 동시통역과 Q&A 채팅을 통한 질의응답을 제공한다. 

행사는 당일까지 온라인 등록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9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831
379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831
378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843
377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855
376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866
375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868
374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872
373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886
372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889
371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913
370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918
369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918
368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923
367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928
366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959
365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971
364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972
363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978
362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979
361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9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