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2331 댓글 0
Young-Gyun Park*, Hye-Yeon Park*, C. Justin Lee, Soonwook Choi, Seonmi Jo, Hansol Choi, Yang-Hann Kim, Hee-Sup Shin, Rodolfo R. Llinas, and Daesoo Kim (* co-first author) (2010) CaV3.1 is a tremor rhythm pacemaker in the inferior olive. Proc Natl Acad Sci USA. 2010 May 3. [Epub ahead of print]

김대수 교수님 연구실의 박영균 박사과정 학생 및 박혜연 연구원은 몸의 떨림이 뇌에 존재하는 칼슘채널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하였다(2010.05.03, online publication).

진전증 환자의 피에 과량 존재하는 하말린이라는 물질은 사람이나 동물에 주사 시 떨림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뇌의 Inferior olive(IO)부위에 존재하는 CaV3.1 칼슘채널이 진전증에 관련된 신경신호(STO)의 생성에 중요하며, 하말린이 이를 강화시킴으로써 몸의 떨림을 생성하게 됨을 규명하였다. 그동안 진전증과 관련된 신경활성은 보고가 되어 왔지만, 진전증의 생성에 있어 분자수준에서 행동에 이르기까지 밝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말린에 의한 떨림은 본태성 진전증의 모델로 사용되어 왔으며, 본 연구를 통해 CaV3.1 조절물질을 진전증 치료의 새로운 타겟으로써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0 김미영 교수, KAIST 이원조교수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25 18700
249 김미영 교수, 박서영 박사과정생(Prof. Walton Jones Lab), '청암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10.10.11 19276
248 김상규 KAIST 교수, 제12회 여천생태학상 받아 file 생명과학과 2019.08.12 6161
247 김선창 교수 6월의 과학기술자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3260
246 김선창 교수 송암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3.12.23 13773
245 김선창 교수 실험실(양경석 박사과정) ACS Catalysis 논문게재 (2015.07) / Kyung Seok Yang (prof. Sun Cha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ACS Catalysis 과사무실 2015.08.20 15747
244 김선창 교수, 글로벌프런티어 단장에 선정! 과사무실 2011.08.03 11800
243 김세원 박사과정(강창원 교수 lab), Santorini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3186
242 김세윤 교수, '공포기억 소거'조절 효소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02.08 7153
241 김세윤 교수, 김은하 박사과정 학생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2017.04) / Prof. Seyun Kim and Eunha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Science Advances (2017.04) new new 생명과학과 2017.05.01 15569
240 김세윤교수님_보톡스처럼 신경 활성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 찾았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3.26 3954
239 김은준 교수 연구팀, 자폐증 치료 가능성 열어 과사무실 2012.06.15 14198
238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4608
237 김은준 교수 포스코청암상 수상 과사무실 2013.02.05 11641
236 김은준 교수, '아산의학상' 기초의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8.01.16 11321
235 김은준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5.20 11412
234 김은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 10명에 선정! 과사무실 2012.05.09 15092
233 김은준 교수, 뇌 속 시냅스 생성 단백질 발견 과사무실 2009.04.06 11303
232 김은준 교수, 올해의 KAIST인상 수상 file 과사무실 2015.01.06 15929
231 김은준 교수, 제 26회 인촌상 수상! 과사무실 2012.08.30 11731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