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단백질은 DNA 등과 같은 핵산과 함께 생물의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양대 축이다. 위에서 소화를 시키는 소화 효소, 당뇨병에 관여하는 인슐린, 손톱도 단백질이다. 생물체에는 5만 종류 이상의 다양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런 단백질을 원하는 기능과 특성을 갖도록 설계하고,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와 박희성 박사팀은 '기존 단백질 골격을 이용한 신기능 단백질 설계와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27일자에 발표됐다. 이에 따라 고성능 의약용 단백질이나 산업용 효소 등을 제조할 수 있는 등 그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 골격은 거의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했다. 예를 들어 인체에서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기능을 하는 '글라이옥살레이즈II'와 베타 락탐 항생제를 분해하는 기능을 하는 '베타 락타메이즈'는 서로 기능이 완전히 다르다. 각각의 기능을 결정하는 액세서리 격의 단백질(loop) 위치와 크기.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골격 구조는 4겹으로 리본이 겹쳐 있듯 거의 비슷하다. 말하자면 가옥의 뼈대는 거의 비슷한데 그 치장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옥도 되고, 양옥도 되는 것이다.

김 교수는 "글라이옥살레이즈II의 골격에 붙어 기능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완전히 떼 낸 뒤 그 길이와 모양을 바꿔 다시 붙임으로써 역할 다른 단백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단백질을 주택으로 비유하면 리모델링을 한 것이다.

연구팀의 이번 성과는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단백질을 만드는 데뿐 아니라 단백질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 데도 응용할 수 있다. 단백질의 골격을 비교해 보면 그 족보가 어느 계통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단백질의 진화에는 단백질 골격을 만드는 유전자에 새로운 유전자가 달라붙거나 또는 일정 부분이 제거되거나, 돌연변이 등이 발생하는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또 어떻게 5만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어떻게 리모델링하나=글라이옥살레이즈II를 베타락타메이즈로 바꾸기 위해 두 단백질의 3차원 구조와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하여 어느 부분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대한 설계도를 만든다. 설계도를 바탕으로 글라이옥살레이즈II의 골격만 남겨 놓고 나머지 액세서리 격으로 붙어 있는 4개의 단백질을 모두 제거한다. 이들은 글라이옥살레이즈II가 제 기능을 하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들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골격에 길이와 아미노산 서열이 다른 새로운 '액세서리'를 유전자 재조합 방법을 이용해 붙임으로써 원래 있었던 글라이옥살레이즈II의 기능은 사라지고 베타락타메이즈의 기능을 갖는 단백질이 됐다.

◆ 어떻게 활용하나=단백질 의약품을 비롯한 산업용 효소 등의 효능을 획기적으로 높이거나 새로운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예를 들어 TNF-알파라는 단백질은 종양을 괴사시키는 단백질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의 것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최근 항체가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는데 이 역시 마찬가지다.

최근 화학회사나 제약회사의 관심을 끌고 효소 산업에도 새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소의 성능과 특성을 목적에 맞게 바꿀 수 있고 안정성도 높일 수 있어서 기존의 화학공정을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생물학적 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다. 종이의 원료인 펄프를 보자. 기존에는 누런 색을 없애기 위해 화공약품인 탈색제를 썼다. 이 기술을 써서 효소가 그런 색을 제거하도록 개발함으로써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세제의 경우도 떼를 빼내는 효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 데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존 효소세제가 서너 숟가락만큼 넣어야 한다면 효소의 성능을 높일 경우 한 숟가락 이하로도 빨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효소의 경우 온도가 높거나 오래 보관하면 그 구조가 파괴돼 성능이 낮아진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이런 단점도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말이다.

◆ 단백질이란=생물계에 약 5만 종 존재하는 것으로 DNA 등의 핵산과 함께 생명 유지의 양대 축. 혈액의 운반에서부터 호르몬.해독.소화효소 작용 등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하다. 그 구조는 리본이 포개져 있는 형태에 기능을 결정하는 액세서리 격의 단백질과 금속이 붙어 있다. 현재 그 구조가 밝혀진 것은 1000여 종이다.

◆ 단백질 리모델링 기술 어떻게 활용하나
- 단백질 의약품 제조 : 항암제 등 단백질을 이용한 의약품의
효능을 높임
- 효소의 안정성과 효능 향상 : 세제나 고기 연하게 하는 연육제
등 각종 효소의 효능 향상, 오래 보관하거나 환경이 안 좋은 곳
에 놔둬도 변질이 잘 안되는 효소 개발 가능
- 단백질 진화 과정 규명 : 단백질의 골격 등을 비교해 보면 어
느 계통에서 분화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음

[중앙일보-박방주 과학전문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전상용 교수, 차세대 면역항암제 플랫폼 개발 위한 공동연구협약 체결 / Professor Sangyong Jon, make a research-cooperation contract for developing next-genreation anti-cancer drug platform 관리자 2016.01.08 16110
33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강석조 박사 소개 (2010.01.01) 과사무실 2009.12.29 16258
32 이주용 박사, 김세윤 교수, PNAS지에 논문 게재 / PhD Joo-Yong Lee and Prof, Seyun Kim published a paper in PNAS 생명과학과 2016.07.04 16345
31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한진희 박사 소개 (2009.10.01) 과사무실 2009.10.06 16358
30 허원도 교수, 박혜림 박사, 김나연 박사과정 학생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2017.06) file 생명과학과 2017.06.26 16606
29 최준호 교수 연구팀, 초파리 생체시계 유전자 'Twenty-four' 발견하여 Nature 발표 과사무실 2011.02.17 16652
28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최길주 교수님 lab), AOCP 2015 우수 포스터상 1등 수상! / Junghyun Kim (PhD Candidate; Giltsu Choi's lab) won the Best poster award at AOCP 2015. file 생명과학과 2015.12.11 16852
27 허원도 교수, Chemistry & Biology지 표지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4.07.22 16916
26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096
25 허원도 교수, 2017년도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으로 선정 생명과학과 2017.02.07 17117
24 최길주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임명 / Prof. Giltsu Choi is appointed KAIST-chair professor. 생명과학과 2016.03.16 17206
23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7272
22 우주연 학생(김은준 교수님 Lab), 로레알-유네스코 펠로쉽 수상 과사무실 2009.06.23 17464
21 주형석 박사와 김은진 학생(강창원 교수 Lab), ‘2009 캠퍼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기업 CEO상을 수상! 과사무실 2009.12.01 17590
20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7739
19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7755
18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이승희 교수 J.Neurosci. 게재 (2016.05) / Jae-Hyun Kim and Prof. Seung-Hee Lee published article at J. Neurosci.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7785
17 김진우 교수, 김형태 박사 Cell Reports에 논문 게재(2015.10) / Professor Jin Woo Kim and Hyung-Tai Kim Ph.D. published paper in Cell reports (2015.10) file 생명과학과 2015.10.29 17881
16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8201
15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3.2) 과사무실 2013.02.21 18751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