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의 논문(Transcriptional pause extention benefits the stand-by rather than catch-up Rho-dependent termination)이 Nucleic Acids Research 저널에 게재되었습니다.
Published: 10 February 2023, https://doi.org/10.1093/nar/gkad051

 

(왼쪽부터) 강창원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송은호 제1저자

< (왼쪽부터) 강창원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송은호 제1저자 >

 

DNA에서 RNA를 생성하는 과정을 마무리 짓는 전사종결인자가 단백질 로(이하 Rho)이다일반 단백질이 작용물질에 미리 붙어 있으면 반응이 빨리 된다는 통념과 다르게 RNA 중합효소에 붙어 기다리는 Rho는 중합효소가 오래 멈출수록 종결 효율이 높아진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발표되었다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자연에서 기다림의 미학이 증명된 것이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KAIST 줄기세포연구센터 고문)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우리 대학 화학과 강진영 교수,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서연수 교수 연구팀과 협업 연구를 통해 RNA 합성 종결인자의 동역학적 특성을 발견했으며 그런 특성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미치는 생물학적 기능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세균의 전사 종결에 단백질 Rho가 관여하는 분자기작에 관해 작년에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Rho가 중합효소에 미리 결합해 RNA의 특수부위를 기다린 후 중합효소DNARNA의 전사 복합체를 해체하는 방식과 Rho가 RNA에 먼저 결합해 중합효소를 쫓아간 후 복합체를 해체하는 방식쫓아간 후 RNA만 방출하고 중합효소가 DNA에 남는 방식 등 세 갈래로 나뉘어 진행된다. (아래 그림 참조)

   그림 1. 종결인자 Rho에 의한 끝내기 세 갈래의 진행 속도와 조절 양상의 차이

< 그림 1. 종결인자 Rho에 의한 끝내기 세 갈래의 진행 속도와 조절 양상의 차이 >

 

그런데 흥미롭게도 세 갈래 진행하는 속도가 기존 통념과는 다른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기존에는 Rho가 RNA에 붙어 중합효소를 쫓아가서 끝내는 방식과 비교하면 Rho가 중합효소에 미리 붙어 기다렸다가 끝내는 방식이 쫓아가는 시간이 들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를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하지만 공동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기다려서 끝내는 방식이 오히려 더 느렸다그런데 느린 기다림 방식은 중합효소의 멈춤 시간이 길수록 종결 효율이 높고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반면에 쫓아가는 빠른 방식은 종결 효율이 중합효소 멈춘 시간과 상관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 변화의 여지도 없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RNA가 방출되는 전사 종결이 일어나려면 RNA의 연장 합성이 일단 멈춰야 한다종결이 더디게 일어나려면 멈춤이 오래 유지되어야 하므로 전사 멈춤 시간과 전사 종결 효율의 상관관계를 이번 공동 연구에서 분석했다연구 결과기다려서 전사의 세 갈래 끝내기 방식이 진행하는 속도가 제각각 다를 뿐 아니라 그 조절 양상도 다르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생물물리학 분야 첨단 기술인 단일분자 실험을 수행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송은호 박사과정 대학원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논문(제목Transcriptional pause extension benefits the stand-by rather than catch-up Rho-dependent termination)은 저명 국제학술지 핵산연구(Nucleic Acids Research최근 영향지수 = 19.160)에 지난 2월 10일 자 게재됐다. KAIST 팔린다 무나싱하 박사, KAIST 황승하 박사과정 대학원생도 참여해 저자가 총 7명이다. 

송은호 제저자는 "기존 통념과 상반된 결과를 처음 발견했을 때 당황스러웠지만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고 적절한 통계 모델을 통해서 그 결과를 검증해냈을 때 뿌듯했고또 이 발견의 생물학적 역할을 규명했을 때 더욱 기뻤다ˮ며 "항생제 개발 등에 중요한 단서를 줄 것이다ˮ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공동 연구에는 단일분자 형광 기술을 구사하는 물리학자유전자 발현을 탐구하는 생명과학자중합체 구조를 분석하는 화학자가 두루 참여했다다양한 분야의 전공자가 꾸준히 협업하는 다학제 기초과학 연구의 우수 사례이며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KAIST 고위험고성과 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았고논문게재비는 KAIST에서 지원했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71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0 허원도 교수, Mol Cell 과 JMCB 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2.06.11 15749
419 허원도 교수, Mai Khanh Nguyen 박사과정 학생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2016.04) / Prof. Won Do Heo and Mai Khanh Nguyen Ph.D. published a paper in a Nature Chemical Biology(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2 13825
418 허원도 교수, ECLIPSE 기술 개발 PNAS지 게재 과사무실 2010.02.09 13319
417 허원도 교수, Chemistry & Biology지 표지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4.07.22 17265
416 허원도 교수, 2017년도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으로 선정 생명과학과 2017.02.07 17553
415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115
414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889
413 한진희 교수님 실험실 (김지은 Post-doc, 권정태 박사과정) Nature Neuroscience 개제 과사무실 2014.01.21 15908
412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09.11.27 15322
411 한진희 교수, 선천적 공포 반응에 대한 신경회로 첫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8.08.08 11728
410 한용만 교수(박상욱 박사과정), Blood 지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11.19 15524
409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3962
408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3924
407 학사과정 김유나 학생, 2008학년도 인성장학생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8.12.09 15495
406 학사과정 강병권 학생, 2009년 인성장학생 공로부문 선정! 과사무실 2010.01.08 12830
405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780
404 최준호 교수, 한전 석좌교수로 임명 과사무실 2011.09.08 11980
403 최준호 교수,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장 취임 / Professor Joonho Choe is augurated as the chairman of KSMCB 생명과학과 2016.01.05 11831
402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991
401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24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