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포스코청암재단은 ‘2009년도 청암 과학펠로’에 최종 선발된 분을 다음과 같이 안내합니다.

1. 청암 과학펠로 선발위원회는 11월 4일 수학 ∙ 물리학 ∙ 화학 ∙ 생명과학 4개 학문별 최종 면접심사를 통해 2009년 청암 과학펠로 30명을 선정했습니다.

* 2009년 청암 과학펠로 선발자(30명) 현황(가나다순임)

<생명과학> . 박사과정 : 金나리, 成俊虎, 元慧定(3명)
. Post-doc 과정 : 金鍾敬, 吳圭熙 (2명)
. 신진교수 과정: 崔正均, 河相準, 韓晋熙( (3명)

<수 학> . 박사과정 : 金昇赫, 朴珍亨(2명)
. Post-doc 과정 : 林炳華, 鄭義陳, 洪元澤 (3명)
. 신진교수 과정: 嚴相日, 崔度勳 (2명)

<물 리 학> . 박사과정 : 李大秀, 李俊昊, 趙恩慧(3명)
. Post-doc 과정 : 辛鍾和, 李承雨(2명)
. 신진교수 과정: 朴斗先, 李德善, 鄭炫錫(3명)

<화 학> . 박사과정 : 朴志焄, 趙連柱 (2명)
. Post-doc 과정 : 李俊錫, 李賢雨 (2명)
. 신진교수 과정: 方斗熹, 沈知勳, 洪秉熙 (3명)

지난해 6월 재단 이사장으로 부임한 박태준 이사장은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가 앞으로 살길은 과학인재를 육성하는 것뿐"이라고 강조하며, 과학 정예인재 육성을 위한 장학사업을 추진해 줄 것을 당부했고 1년여 간 해외 선진재단과 국내 사례 조사ㆍ분석 등의 준비작업을 통해 베세머 과학팰로십 사업을 시행하게 된 것이다.

청암 베세머 과학펠로십은 1856년 무쇠를 강철로 바꾸는 제강법 중 전로법이라는 혁신적인 공법을 개발한 영국의 헨리 베세머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영국금속학회는 철강기술의 일대 혁명을 일으킨 베세머 제강법을 기념하기 위해 철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베세머 금상을 제정했는데, 미국의 카네기가 1904년 이 상을 받았고, 박태준 이사장은 1987년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베세머 금상을 수상했다.

박 이사장은 "베세머라는 이름을 붙인 이유는 분명하다"면서 "해외유학 대신 국내에서 연구하는 우리의 젊은 과학자가 자기 분야에서 세계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희망과 격려와 기대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선발된 청암 박사과정 펠로에게는 연간 2500만원씩 3년에 걸쳐 총 7500만원의 연구장려비를, 청암 포스트닥터 펠로와 청암 신진교수 펠로는 2년간 각각 연간 3500만원씩 총 7000만원의 연구장려비를 지원한다. 2012년부터 매년 선발 인원을 70명 정도로 확대해 연간 20억원 수준의 연구장려비를 지원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2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15
401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293
400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62
399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511
39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481
39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348
39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505
395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487
394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452
393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8
392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40
391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548
390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392
389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78
38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498
387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440
386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558
38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381
384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387
383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4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