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SF 어워드'에서 KAIST(한국과학기술원) 유슬기 씨 작품이 단편소설 부문에 당선됐다.

26일 포스텍에 따르면 올해 단편소설 부문에서는 KAIST 생명과학과 대학원생 유슬기 씨의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가, 가작에는 POSTECH 화학과 대학원생 기민정 씨의 작품 '영도'가 선정됐다.
 
미니 픽션 부문에서는 당선작 없이 고려대 물리학과 김민재 씨의 '자연 선택' · '카산드라'와 연세대 물리학과 대학원생 조완 씨의 '게헨나' · '지능의 발명' 작품이 가작으로 선정됐다.
 
당선작 수상자에게는 POSTECH 총장상과 함께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또 이번 대회의 수상작과 심사위원 추천작은 수상 작품집 단행본으로 출간될 계획이다.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는 식물이라는 소재의 참신함과 구조의 유려함, 사회 문제를 들여다보는 예리한 시선이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슬기 씨는 "이야기는 저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창구"라며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주관하는 이 공모전은 휴학생 포함 국내 이공계 대학생ㆍ대학원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올해에는 단편소설 25편과 SF 미니 픽션 16편 등 총 41편이 접수됐다.

 

https://www.nocutnews.co.kr/news/61018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5 [서성배, 이승희 교수님] 뇌는 포도당을 구별한다..비만·당뇨 치료의 단서 찾아​ 생명과학과 2025.07.10 20
464 [정현정 교수님] 부작용·내성 극복한 신개념 칸디다증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5.07.10 11
463 [이흥규 교수님]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생명과학과 2025.07.02 120
462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397
461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생명과학과 2025.06.04 314
460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451
459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388
458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335
457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480
456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1391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72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949
453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881
452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804
451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68
450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79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994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1016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1144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110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