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김진우 교수, 김형태 박사 망막신경 세포 간 단백질 이동을 통한 신경망 유지 현상 규명

 

제목 없음.jpg


 

김진우교수 연구실 (1저자 김형태박사)에서Otx2 단백질이 망막 신경 사이를 이동하며 연결된 신경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시각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Cell Reports 1022일자 online에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Otx2 유전자 변이에 의한 다양한 시각계 기능 이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으며,Otx2 단백질을 망막 퇴화가 일어나는 Otx2(+/-)생쥐 안구 내에 주입하여 망막신경 퇴화 억제 및 시력 복구에 성공하여 향후 Otx2 단백질을 망막신경퇴행 억제 인자로 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확인하였다.



Professor Jin Woo Kim and Hyuong-Tai Kim, Ph.D. revealed neuro-protective mechanism in retinal neurons by inter-cellular protein transport.


제목 없음.jpg


Prof. Jin Woo Kim's lab (Hyoung-Tai Kim, first author) revealed Otx2-dependent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retinal neurons that maintains vision by preventing retinal dystrophy. This research was published in Cell reports online on Oct 22, 2015.

This research shed a light to understand vision system dysfunction derived from mutation of Otx2. The research revealed that retinal sytrophy in Otx2(+/-) mice is prevented by intraocular injection of Otx2 Protein. These findings suggest a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OTX2 protein delivery in human retinal dystroph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6 최광욱 교수님 실험실 목정완 박사과정 학생, '2017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17.05.15 22895
255 김세윤 교수, 김은하 박사과정 학생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2017.04) / Prof. Seyun Kim and Eunha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Science Advances (2017.04) new new 생명과학과 2017.05.01 16874
254 김진우 교수, 하태정 박사과정 학생, 새로운 Notch 신호 유발자로써의 망막색소상피세포 기능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7.04.12 13676
253 이승희 교수, 송유향,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Neuron 게재 file 생명과학과 2017.02.13 19033
252 허원도 교수, 2017년도 4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으로 선정 생명과학과 2017.02.07 18350
251 김진우 교수, 김예하 박사 eLife 지에 논문 게재(2017.01) / Prof. Jin Woo Kim, PhD. Yeha Kim published a paper in eLife(2017.01) 생명과학과 2017.02.03 13130
250 김대수 교수, 제 58회 3-1 문화상 수상자로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7.02.02 16940
249 임대식 교수, 한국과학상 대통령상 수상(2016. 12. 27) file 생명과학과 2016.12.28 14551
248 강창원 교수, 2016년 제2회 바이오유공자 장관표창 수상 생명과학과 2016.11.10 13386
247 임대식 교수, 2016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학술상 생명과학상 소개 강연 생명과학과 2016.10.10 14822
246 최광욱 교수, 홍성태 박사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9) / Prof. Kwang-Wook Choi and Dr. Sung-Tae Hong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생명과학과 2016.10.06 16452
245 전상용 교수, 2009~2014 기초학문 약학분야 9위 선정 생명과학과 2016.10.04 17090
244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9046
243 허원도 교수, Trang T. T. Nguyen박사 PNAS지에 논문 게재(2016.08) / Prof. Won Do Heo, PhD. Trang T. T. Nguyen publish an article in PNAS (2016.08) 생명과학과 2016.08.25 15314
242 최길주 교수,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The Plant Cell 게재(2016.06) / Prof. Giltsu Choi and Junghyun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The Plant Cell (2016.06) 생명과학과 2016.07.05 14937
241 이주용 박사, 김세윤 교수, PNAS지에 논문 게재 / PhD Joo-Yong Lee and Prof, Seyun Kim published a paper in PNAS 생명과학과 2016.07.04 17952
240 전상용 교수, 몸 속 물질 이용한 염증 치료제 개발 / Prof. Sang-Yong Jon developed anti-inflammatory drug using biological materials 생명과학과 2016.06.15 21533
239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5537
238 허원도 교수, 김진만 박사, 이민지 박사과정 학생 PNAS지에 논문 게재(2016.05) / Prof. Won-Do Heo, PhD. Jin-Man Kim and Min-Ji lee publish an article in PNA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3654
237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이승희 교수 J.Neurosci. 게재 (2016.05) / Jae-Hyun Kim and Prof. Seung-Hee Lee published article at J. Neurosci.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9015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