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KAIST, 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코로나19 등 감염성 병원체 대응 위한 백신 플랫폼으로 활용"

 

 

KAIST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 모식도

KAIST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변이에도 면역이 가능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나노 구조체 형태의 플랫폼 기술로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미 백신이 개발돼 있지만, 바이러스의 높은 변이율로 인해 면역원성(외부 물질을 인식하는 면역 반응의 강도)이 떨어져 매년 유행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마다 백신을 새로 예측해 생산, 접종해야 하는 등 문제가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만든 나노 구조체에 백신용 항원을 전달함으로써 면역원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증강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자체 면역원성을 갖는 브루셀라 병원균의 외막 단백질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전달체로 활용했다.

외막 단백질 'B26'을 술통 모양의 나노 구조체로 만들어 면역증강제 없이도 자기조립을 통해 면역원성을 높이도록 설계했다.

여기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에 상관없이 범용성을 갖는데도 면역원성이 낮아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M2e'를 결합, 새로운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했다.

동물실험을 통해 2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투여한 결과, 백신 투여군에서 100% 생존율과 낮은 체중 감소율 등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동물 실험 결과 그래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동물 실험 결과 그래프

 

연구팀은 기술 이전과 임상시험을 진행, 앞으로 5년 안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상용 교수는 "세균에서 유래한 단백질에 기반해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한 것은 처음"이라며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백신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 나노'(ACS Nano) 지난 11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7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721
376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95
375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426
374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875
37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693
37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484
371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585
370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677
369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411
368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8
367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416
366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007
365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529
364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486
363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762
362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485
36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459
36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449
35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33
35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0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