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Memory recall and modifications by activating neurons with elevated CREB

기억은 뇌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저장된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memory allocation에 전사인자인 CREB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CREB을 인위적으로 편도체 (amygdala)에 있는 일부 뉴런들에 과발현시키면 이 뉴런들이 기억저장에 선택적으로 참여하고 후에 이 뉴런들만을
선택적으로 뇌에서 제거했을 때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CREB 유전자 과발현, in vivo electrophysiology 그리고 TRPV1-capsaicin
시스템을 이용한 약물학적 신경세포 활성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CREB을 과발현시킨 뉴런들만을 특이적으로 활성화 시켰을 때 그 자체만으로 편도체에 저장된 공포기억이 불러일으켜 지고
이런 자극을 통해 기억의 강화와 같은 기억 조작,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억의 신경생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와 같은 정신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1053
444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1108
443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1288
442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1214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1537
440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814
439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495
438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894
437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1650
436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679
435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853
434 [전상용 교수님]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898
433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649
432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2776
431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1544
430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639
429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931
428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2710
427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2003
426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8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