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임대식 교수님 실험실 (김민철 박사과정) The Embo Journal 게재


cAMP/PKA signalling reinforces the LATS-YAP pathway to fully suppress YAP in response th actin cytoskeletal changes

Hippo pathway YAP oncogene을 억제하는 tumor suppressor pathway로서 줄기 세포의 항상성 유지와 암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Hippo pathway는 세포의 연접, actin cytoskeleton의 변화, Wnt/GPCR 등의 신호들에 의해서 활성화되어 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조절한다. 본 연구단은 LATS kinase YAP을 인산화하여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PKA 신호가 LATS의 활성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분자적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더 나아가, PKA에 의한 YAP의 조절은 암의 초기 전이 과정을 억제하는 메카니즘인 anoikis와 신경 줄기세포의 분열/분화 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GPCR 신호에 의한 분화 과정을 이해하고 관련된 암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3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79
62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87
61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59
60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343
59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233
58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315
57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406
56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86
55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340
54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387
53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71
52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64
51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59
50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498
49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766
48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452
47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543
46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472
45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667
44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549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