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해도연 작가, 김희선 작가, 이지용 평론가, 단편소설 대상 유슬기 씨, 단편소설 가작 기민정 씨, 미니픽션 가작 김민재 씨. 조완 씨.(왼쪽부터) 포스텍 제공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SF 어워드'에서 KAIST(한국과학기술원) 유슬기 씨 작품이 단편소설 부문에 당선됐다.

26일 포스텍에 따르면 올해 단편소설 부문에서는 KAIST 생명과학과 대학원생 유슬기 씨의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가, 가작에는 POSTECH 화학과 대학원생 기민정 씨의 작품 '영도'가 선정됐다.
 
미니 픽션 부문에서는 당선작 없이 고려대 물리학과 김민재 씨의 '자연 선택' · '카산드라'와 연세대 물리학과 대학원생 조완 씨의 '게헨나' · '지능의 발명' 작품이 가작으로 선정됐다.
 
당선작 수상자에게는 POSTECH 총장상과 함께 상금 500만 원이 수여된다. 또 이번 대회의 수상작과 심사위원 추천작은 수상 작품집 단행본으로 출간될 계획이다.
 
'도시 바깥에서는 껌의 향이 난다'는 식물이라는 소재의 참신함과 구조의 유려함, 사회 문제를 들여다보는 예리한 시선이 심사위원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슬기 씨는 "이야기는 저 자신을 드러낼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창구"라며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지만, 앞으로도 계속 이야기를 만들어 나가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주관하는 이 공모전은 휴학생 포함 국내 이공계 대학생ㆍ대학원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올해에는 단편소설 25편과 SF 미니 픽션 16편 등 총 41편이 접수됐다.

 

https://www.nocutnews.co.kr/news/61018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915
14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874
14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2477
140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1061
139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2702
138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421
137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2459
136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579
135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843
134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922
133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018
132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2676
131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758
130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001
129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1082
128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2625
127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2281
126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977
125 [전상용 교수님]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835
124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1497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