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조병관 교수가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선정하는 Young Scientist에 선정되었습니다.

WEF에서 선발하는 Young Scientist는 매년 전 세계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약 40세 미만의 교수 및 연구원 중 뛰어난 연구성과와 잠재력을 기준으로 약 40여명이 선발됩니다. 올해는 35명이 선발되었으며 Summer Davos에 참여하여 포럼에 참여하는 경제, 저널 등 다양한 분야의 세계리더들과 과학과 기술이 세계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생각들을 나누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많은 축하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6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404
395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498
394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432
393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873
392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500
391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780
390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431
389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416
38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884
387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854
386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97
385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823
38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480
38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473
382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75
381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333
380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374
379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5281
378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4719
377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408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