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유태근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유태근 박사 >

 

고정된 3차원 구조가 없는 상태로 존재하는 비정형 단백질((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은 알츠하이머파킨슨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부터 암심혈관계 질환대사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따라서이들을 신속하게 검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면 조기 진단을 통해 질병의 진행을 막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병리기전을 밝히고 나아가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연구팀이 이러한 비정형 단백질을 간단하게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단백질을 디자인하는 데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단백질은 특정한 3차원 구조를 가지며 생체 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실제 인간 단백질 중 44%는 상황에 따라 구조가 변화는 비정형 단백질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 일반 단백질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그러나비정형 단백질은 고정된 구조가 없어서 이들 단백질의 분석과 기능 연구가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비정형 단백질이 단백질 2차 구조인 베타 스트랜드(β-strand)를 형성하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특정 서열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경우에만 신호를 방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센서 단백질 디자인 방법을 정립하였다.

그림 1. (상단, 좌) 비정형 단백질과 결합과 동시에 형광신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센서 단백질 모식도. 베타 통 구조의 녹색 형광단백질에서 한 개의 베타시트를 제거한 뒤 해당 위치에 비정형 단백질이 베타 시트 형태로 결합하면 발색단의 형광파장이 변화되도록 설계. (상단, 우) 센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의 특정 서열 조각이 결합된 복합체의 결정 구조. (하단, 좌) 다양한 농도의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농도에 대한 센서 단백질의 형광 파장대 변화. (하단, 우) 센서 단백질을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와 성상세포 세포막 사이의 상호작용 실시간으로 추적

< 그림 1. (상단, 좌) 비정형 단백질과 결합과 동시에 형광신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센서 단백질 모식도. 베타 통 구조의 녹색 형광단백질에서 한 개의 베타시트를 제거한 뒤 해당 위치에 비정형 단백질이 베타 시트 형태로 결합하면 발색단의 형광파장이 변화되도록 설계. (상단, 우) 센서 단백질과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의 특정 서열 조각이 결합된 복합체의 결정 구조. (하단, 좌) 다양한 농도의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농도에 대한 센서 단백질의 형광 파장대 변화. (하단, 우) 센서 단백질을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와 성상세포 세포막 사이의 상호작용 실시간으로 추적 >

 

연구팀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t Protein, GFP)의 베타 스트랜드 하나를 제거한 후비정형 단백질의 특정 서열이 결합하면 형광 단백질 발색단(chromophore)의 파장 스펙트럼이 변화하는 센서 단백질을 컴퓨터 및 방향적 진화 방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그림 1)

연구팀은 대표적 비정형 단백질의 하나로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세포 내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단백질을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을 추적하고 영상화할 수 있었다기존에는 비정형 단백질을 분석하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비정형 단백질 자체가 크게 변형되어 실제 비정형 단백질의 분석과 기능 연구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그러나이번에 개발된 센서 단백질은 단순히 비정형 단백질과 섞어줌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비정형 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어서 향후 비정형 단백질 분석 및 관련 질병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2. 표지 논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JACS Au)'에 지난 10월 26일 자로 출판됐으며,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그림 2. 표지 논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JACS Au) >

 

생명과학과 유태근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하고 이진수 박사 (허원도 교수 연구실)와 윤정민 박사(송지준 교수 연구실)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잭스 골드 (JACS Au)'에 지난 10월 26일 자 3권 11호에 출판됐으며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그림 2) (논문명 : Engineering of a Fluorescent Protein for a Sensing of an Intrinsically Disordered Protein through Transition in the Chromophore State) 

저자인 유태근 박사는 고정된 구조가 없는 비정형 단백질은 일반적 단백질에 비해 센서 단백질의 디자인과 개발이 매우 어려운 표적이었다라며 이번 연구가 비정형 단백질의 분석과 관련 병리기전의 연구에 새로운 방법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41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644
353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647
352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655
351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656
350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658
349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74
348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713
34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715
346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717
345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721
34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723
343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3.03 731
342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747
341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750
340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785
339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800
338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801
337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806
336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826
335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83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