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f=k_s&n=200604200109&main=1http://www.donga.com/fbin/output?f=k_s&n=200604200109&main=1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

뇌의 신경세포끼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만드는 새로운 물질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金恩俊·시냅스생성연구단장·사진) 교수팀은 19일 생쥐의 뇌에서 ‘살름(SALM)’이라는 단백질이 신경세포 연결부위(시냅스)를 작동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부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신경과학 권위지 ‘뉴런’ 20일자에 게재됐다. 그동안 시냅스를 형성할 때 ‘뉴로리긴’이라는 단백질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뉴로리긴은 시냅스를 만들어낼 뿐 작동을 시키지는 못한다.

연구팀은 생쥐의 신경세포에서 뉴로리긴과 비슷하게 생긴 새로운 단백질 살름을 발견했다. 살름은 신호전달이 시작될 수 있도록 시냅스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잠자고 있던 시냅스를 살름이 깨우는 것이다.

김 교수는 “뉴로리긴과 살름이 서로 손발을 맞춰 시냅스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뇌 신호전달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는 정신박약, 자폐증, 치매 등의 발병 메커니즘을 알아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소형 동아사이언스 기자 sohyung@donga.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3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880
422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891
421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915
420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921
419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942
418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943
417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955
416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1955
415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977
414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983
41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984
412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987
411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001
410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2004
409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017
40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2018
40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2039
40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2041
405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2043
404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21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