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KAIST "조현병·ADHD 등 충동성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이 시각 정보를 인식해 행동을 결정하는 대뇌 전두엽의 신경회로 과정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우리 몸은 외부의 감각 정보를 인식해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신호등의 빨간 색 신호를 보면 멈추고, 초록색 신호를 보면 출발한다.

이처럼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운동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인체 뇌는 감각 정보를 적절한 운동 정보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 교수 연구팀은 이것이 전측 대상회(전대상) 피질(ACC·anterior cingulate cortex)의 억제성 회로에 의해 이뤄짐을 밝혔다.

전대상 피질은 신체적인 고통에 반응하고 통증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으로, 뇌 전두엽에 자리 잡고 있다.

연구팀은 시각 자극이 주어지면 물을 핥고, 그렇지 않으면 핥기를 멈추는 행동을 학습시킨 생쥐의 전대상 피질에 고밀도 실리콘 전극을 삽입, 생체 내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약물을 이용해 전대상 피질의 활성도를 낮춘 결과, 생쥐는 시각 자극이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충동적으로 핥기를 지속하는 비정상적인 행동 양상을 보였다.

전대상 피질은 시각 정보가 없을 때 운동을 멈추고 기다려야 하는 충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대상 피질에는 시각 정보에 반응하는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와 운동 개시를 억제하는 운동 억제성 신경세포, 시각 정보와 운동 개시 모두에 반응하지 않는 나머지 신경세포들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광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대상 피질의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시각 피질로부터 신경 정보를 직접 전달받음을 확인했고, 광 자극으로 해당 신경 회로를 활성화하면 시각 자극이 없어도 생쥐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나 조현병 등과 같은 인지장애·충동성을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jyoung@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6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485
415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486
41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488
413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490
412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499
411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505
410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505
409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542
40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550
407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560
406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563
405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566
404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567
403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1588
402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598
401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610
400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630
399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636
39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636
397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6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