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t.co.kr/http://www.dt.co.kr/우리나라가 새로운 미생물 박테리아를 찾아내는 데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의 본격적인 활동에 힘입어 영국의 세계적인 미생물 학술지 IJSEM에 등록한 `2005년도 박테리아 신종' 발표건수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미생물 다양성을 확보, `유전체 보물지도' 제작을 위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올해 전체 신규 발견 박테리아 494종 가운데 13.8%인 68종을 발견, 미생물 박테리아 부문의 강국인 일본(59종)과 미국(44종), 중국(42종), 독일(41종)을 제치고 수위에 올랐다.

이 가운데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전세계 발견 건수의 12.6%인 62종의 신규 박테리아를 발표,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24종)보다 3배 가량 많은 실적을 거두며 해당 분야의 독보적인 존재로 부상했다고 과기부는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특히, 개발연구자 순위에서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윤정훈 박사가 32종을 발표, 지난해에 이어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택 교수도 14종으로 2위를 차지하는 등 선두권을 독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단 오태광 단장은 "최근 외국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안이나 미생물 제공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며 "향후 공동연구 등을 통해 효소와 기능성 미생물 등 정밀화학소재와 항생물질 등을 발굴한다면 국내 미생물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타임스 2005-12-16 13:02 / 강희종기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5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332
384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334
383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335
382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336
381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42
38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344
379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47
378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348
377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352
376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357
375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360
374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368
373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69
372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69
371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375
370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76
369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388
368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389
367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401
366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4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