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고규영 교수ㆍ조정현 박사팀이 개발한 혈관생성 단백질'콤프안지원(COMP-Ang 1)' 은 앞으로 심장병과 혈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여러 질병에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안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는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등 허혈성 심장과 뇌질환을 치료하는 데'VEGF' 라는 단백질이 사용됐다. 그러나 이 물질은 급속하게 혈관을 치료하는기능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혈관을 생성해 차후 부종이나 염증, 암등 부작용을 많이 야기했다.

이번에 개발된 콤프안지원은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유도하는 물질이므로 건강한 혈관을 생성할 수 있다. '콤프안지원' 은 생물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를 재생하고 활성화하는 물질인 안지오포이에틴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개발한 단백질이다. 안지오포이에틴은 심장병, 심근경색 등 혈관계 질환들을 거의 완벽하게 치료할수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물질 분자구조가 너무 크고 복잡해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약물화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다.

고규영 교수는 이 물질의 아미노산을 특성이 비슷한 세포구성물질인 콤프로 대체해 분자구조를 단순화하고 규모도 줄여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우수성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과학기술 관련 학술지인 '국립학술원학회지' 는 고 교수 연구결과를 이달에 상세하게 다룰 예정이다. 또 미국에 물질개발과 관련한 특허를 출원해 현재 심사가 진행되고 있다.

고 교수는 "앞으로 4~5년 안에 상용화해 치료약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라며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으로 상용화하면 연간 200억~500억원가량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이명진 기자>

매일경제 2004-04-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김선창 교수 6월의 과학기술자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3323
122 변시명 교수 기초과학 교과목 우수강의상 수상 1 과사무실 2004.03.17 13325
121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3328
120 허원도 교수, Mai Khanh Nguyen 박사과정 학생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2016.04) / Prof. Won Do Heo and Mai Khanh Nguyen Ph.D. published a paper in a Nature Chemical Biology(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2 13330
119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344
118 최광욱 교수, 2014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선정 / Prof. Kwang-Wook Choi was selected as Top 5 news of 2014 in domestic bio research field 과사무실 2015.01.15 13358
117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3363
116 이준식 교수 IAFOST Fellow 선출 과사무실 2003.09.08 13372
115 최길주 교수, 정진길 박사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8) 과사무실 2014.09.11 13421
114 이규리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ICMAT 2009 & IUMRS-ICA 2009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09.07.13 13436
113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3437
112 최준호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과사무실 2011.12.01 13457
»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3478
110 김재섭 교수 논문 Nature Genetics 게재 과사무실 2005.01.31 13483
109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3513
108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3514
107 이상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취임 과사무실 2005.07.12 13525
106 학사과정 김혜림, 국립암센터 인턴쉽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10.09.07 13536
105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3557
104 목혜정 박사와 이수현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로슈 마르코 폴로 심포지움에서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과사무실 2009.09.22 1360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