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허원도 교수님 사진.jpg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허원도 교수_Cell Chemical Biology 12월 표지.jpg

그림1. Cell Chemical Biology 12월호 표지



Locally Activating TrkB Receptor Generates Actin Waves and Specifies Axonal Fate

 

광유도 시스템을 적용하여 발달단계의 신경세포의 말단 곳에 국소적으로 빛을 주어 신경영양인자 수용체를 활성시킴으로써빛을 위치에서 축삭 발달에 중요현상인 액틴파가 지속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분자기전을 규명하였음.


또한 다수의 신경돌기 하나의 신경돌기에 특이적으로 빛이 가해졌을 활성화된 신경성장인자 수용체가 액틴파를 형성하며 빛이 가해진 신경돌기 방향으로 축삭 발달에 필수적인 단백질 (AnkyrinG, Tau, EB3 ) 이동시켜 축삭 발달을 유도할 있음을 밝혀내었음.


여러 신경돌기 하나의 신경돌기가 어떻게 축삭으로 선택되고 축삭으로 발달하게 되는지발달신경생물학의 오래된 주제에 대한 상위 분자기전을 제시하는 의미있는 성과임.


이 성과는 Cell Chemical Biology 저널의 2019. 12월호의 cover article로 채택되었으며, preview에 소개되었습니다.



허원도 교수_광유전학 신경세포막 수용체 활성을 통한 신경세포 축삭의 결정 과정.jpg

그림2. 광유전학 신경세포막 수용체 활성을 통한 신경세포 축삭의 결정 과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9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10
408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22
407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39
406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41
405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53
404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57
403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64
40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74
401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95
400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205
399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10
398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214
397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15
396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251
395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285
394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85
393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7
392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294
391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315
390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3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