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사진 1. 생명과학과 김윤기 교수

< 사진 1. 생명과학과 김윤기 교수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mRNA 백신은 선형 형태의 mRNA를 가지고 있어 세포내에서 매우 불안정한 특징이 있다반면 원형 형태의 RNA(circular RNA)는 선형 RNA에 비해 매우 안정되기 때문에 수많은 국내외 제약회사에서 RNA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원형 RNA를 개발하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합성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윤기 교수 연구팀이 진핵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원형 RNA(circular RNA)의 단백질 합성 과정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분자생물학에서 중심원리(central dogma)’라고 알려진 DNA로부터 시작해 RNA, 단백질로 이어지는 유전정보의 흐름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 원리다이때 최종 생산 산물인 단백질은 번역 과정에 의해 생성되며 이와 관련한 메커니즘 연구는 예로부터 활발히 진행돼오고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mRNA 백신과 관련해 RNA의 안정성과 합성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법에 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선형 mRNA는 세포내에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항체 생성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부득이 고용량의 mRNA를 접종하고 있는 상황이다이러한 고용량 접종은 mRNA에 기인하는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연구팀은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형태의 단백질 번역 과정을 규명하였다세포내에서 생성되는 대부분의 원형 RNA는 엑손 접합 복합체 (Exon junction complex; EJC)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엑손 접합 복합체는 단백질 합성을 담당하는 리보솜을 끌어오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eIF3g)과 직접 결합함으로써최종적으로 리보솜을 끌어와 단백질 합성을 유도함을 규명하였다.

그림 1. 원형 RNA의 경우, 엑손 접합 복합체(EJC)가 원형 RNA에 결합하고, eIF3 복합체와 리보좀을 끌어옴으로써 원형 RNA의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반면에 선형 mRNA의 경우, 엑손 접합 복합체가 안정하게 선형 mRNA에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엑손 접합 복합체를 통한 단백질 합성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 그림 1. 원형 RNA의 경우, 엑손 접합 복합체(EJC)가 원형 RNA에 결합하고, eIF3 복합체와 리보좀을 끌어옴으로써 원형 RNA의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반면에 선형 mRNA의 경우, 엑손 접합 복합체가 안정하게 선형 mRNA에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엑손 접합 복합체를 통한 단백질 합성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

 

연구를 주도한 김윤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안정성이 높은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합성 과정을 규명한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이 작용과정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고안정성 및 고효율 단백질 합성이 가능한 mRNA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소감을 밝혔다특히 원형 RNA 기술 상용화를 위해 김윤기 교수는 라이보텍(벤처회사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생명과학과 장지윤신민경 박사과정생박주리 박사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 학술지 `핵산 연구 저널지(Nucleic Acids Research)'에 10월 9일 자로 소개됐다. (논문명 An interaction between eIF4A3 and eIF3g drives the internal initiation of translation).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20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2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539
251 KAIST iGEM팀(조병관 교수 지도) 2012 World Championship 진출 file 과사무실 2012.10.12 21722
250 최준호 교수, 2012년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에 선정 과사무실 2012.11.02 11556
249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과사무실 2012.12.10 14413
248 김근화 박사, 김승균 박사, 박상욱 박사, 2012년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선정 과사무실 2013.01.02 13294
247 김은준 교수 포스코청암상 수상 과사무실 2013.02.05 11729
246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3.2) 과사무실 2013.02.21 18750
245 송지준 교수, Genes & Dev.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3.21 12845
244 김학성 교수, Nat. Chem. Biol.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3.22 12336
243 김재훈 교수, Molecular Cell 게재 (2013.3) 과사무실 2013.04.01 12810
242 임대식 교수, PNAS 게재 (2013.4) 과사무실 2013.05.02 12576
241 김학성 교수, PNAS 게재 (2013.6) 과사무실 2013.06.20 11824
240 임대식 교수님 실험실 (김민철 박사과정) The Embo Journal 게재(2013.5) 과사무실 2013.07.05 15264
239 송지준 교수, J.Am.Chem.Soc. 게재 (2013.10) 과사무실 2013.10.18 13915
238 최길주 교수, The Plant Cell 게재 (2013.12) 과사무실 2013.12.17 19578
237 한진희 교수님 실험실 (김지은 Post-doc, 권정태 박사과정) Nature Neuroscience 개제 과사무실 2014.01.21 15442
236 2014년 개교 43주년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4.02.14 11373
235 임대식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5 11973
234 강창원 교수, KT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6 12180
233 전상용 교수, ACS Nano 게재(2014.2) 과사무실 2014.03.12 12660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