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홍 교수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홍 교수 >

 

간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인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과 그 진행 형태인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현재 표준 진단 방법은 주로 간 조직을 채취하는 간 생검에 의존하고 있어 환자의 위험 부담이 크며질병의 진행 단계를 추적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홍 교수 공동연구팀이 활성산소에 반응해 자기공명영상(MRI) 신호가 증강되는 MRI 영상 조영제를 개발했고 한 번의 MRI 촬영으로 손쉽게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간세포 손상염증그리고 최종적으로 간경화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으로간 내 활성산소 수준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활성산소는 간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착안해 연구팀은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을 비침습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특히간 내 활성산소 양 변화에 반응해 MRI 신호를 강화할 수 있는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를 개발하고이를 활용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 상태를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했다.

그림 1.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비알콜성 지방간염에서의 모니터링 모식도

< 그림 1.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비알콜성 지방간염에서의 모니터링 모식도 >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는 간 내 활성산소 증가에 따라 MRI 신호를 증폭했고 연구팀은유사 3-구획 모델을 통해 한 번의 MRI 촬영으로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 정도를 결정할 수 있었다이를 통해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초기 단계부터 간경화에 이르기까지 간 질환의 진행 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다양한 실험을 통해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가 간 질환 모델 마우스에서 활성산소 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MRI 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했다이러한 발견은 간 질환의 진행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더 나아가이 기술은 비침습적이라는 점에서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여주며장기적으로는 간 질환 관리 및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2.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행 모니터링 확인 실험 결과

< 그림 2. 망간 이온 결합 빌리루빈 나노입자의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행 모니터링 확인 실험 결과 >

 

전상용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새로운 MRI 조영제와 영상해석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표준 진단으로 사용하던 환자들에게 위험한 간 생검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병원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영상 장비인 MRI로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진행 상태 및 간경화로의 전이되는 단계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어 지방간염 약물의 효능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진단 장비가 될 수 있을 것이므로 효율적인 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그림 3. 이중 입력 유사 3-구획 모델을 이용한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행 모니터링 결과

< 그림 3. 이중 입력 유사 3-구획 모델을 이용한 비알콜성 지방간염 진행 모니터링 결과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정원식 박사 및 바이오및뇌공학과 무하메드 아사두딘(Muhammad Asaduddin) 박사가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최정상급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ISSN: 0935-9648 print, 1521-4095 online, Impact Factor: 32)' 온라인판에 지난 3월 9일 字 게재됐다.

(https://doi.org/10.1002/adma.202305830 논문명Longitud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ROS-Responsive Bilirubin Nanoparticles Enables Monitoring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Progression to Cirrhosis).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리더연구사업(종양/염증 미세환경 표적 및 감응형 정밀 바이오-나노메디신 연구단및 기초연구실지원사업(뇌척수액 순환 기반 뇌인지기능 기초연구실)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60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4 "당뇨병 합병증 치료단백질 개발!" - 고규영교수팀 과사무실 2006.03.14 13846
433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3734
432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 선정 생명과학과 2017.09.12 15983
431 1단계 BK21사업 성과보고대회 - 우수사업단 선정 및 부총리 표창 과사무실 2005.12.19 11256
430 2005학년도 석림학술장학재단 장학생 - 이영석 박사과정 학생 선정 과사무실 2005.12.29 12230
429 2007년 국가지정 연구실 선정.. 최길주 교수 연구실 과사무실 2007.07.20 12642
428 2008년 개교 37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8.02.14 12123
427 2008년도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8.04.29 12783
426 2009년 개교 38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9.02.17 11310
425 2010년 개교 39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0.02.11 11444
424 2011년 개교 40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1.02.11 10991
423 2012년 개교 41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2.02.10 10654
422 2014년 개교 43주년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14.02.14 11373
421 2015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 Announcement of KAIST's Top 10 Research Accomplishments of 2015 생명과학과 2016.03.07 10974
420 2020 Spring KAIST Compass 생명과학과 2020.05.07 2880
419 2020년 우수논문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3878
418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620
417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566
416 2단계 BK21 1차년도 연차평가결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07.10.09 12099
415 2단계 BK21 <b>2년 연속 생물분야 1위!</b> 과사무실 2008.09.10 113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