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강창원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홍성철 서울대 교수, 송은호 박사, 한선 박사과정

< (왼쪽부터) 강창원 생명과학과 명예교수, 홍성철 서울대 교수, 서울대 송은호 박사, 한선 박사과정 >

 

바이러스는 특정 세포 안에 침투했을 때만 증식의 생명력을 띠고 그 외에는 무생물 같으며사람 세포를 감염시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세균을 잡아먹으며 증식하는 세균바이러스 등이 있다국내 연구진이 세균바이러스가 RNA 합성을 마무리 짓는 방식에 해체종결(1)만 있고 재생종결(2)은 없다는 사실을 밝히고 RNA 의약품 개발에 응용될 가능성을 높였다.

(1)해체종결합성 복합체가 중합효소, DNA, RNA로 해체

(2)재생종결: RNA만 분리되고 중합효소는 DNA에 남아 재생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줄기세포연구센터 고문)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세균의 리보핵산(RNA) 합성방식 두 가지 중 하나가 바이러스에는 없다는 것을 발견해세균이 바이러스로부터 진화하면서 획득한 방식을 처음 밝힌 연구 논문을 핵산 분야 최상급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유전자 DNA의 유전정보에 따라 RNA를 합성하는 효소가 RNA 중합효소다이는 유전정보가 DNA에서 RNA로 옮겨 적히기에 전사(轉寫)라고 부르는 유전자 발현 첫 단계를 수행하며, RNA 백신 등 첨단 RNA 의약품을 개발 생산하는 데에 쓰인다연구팀은 세균바이러스의 RNA 중합효소를 연구해서 생물로 진화하기 이전 태초의 RNA 합성(전사방식을 밝힌 것이다. 

유전자에 따라 다른 게 아니라 어느 유전자든 전사 마무리 방식에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을 수년 전 세균에서 발견했었다그리고 세균보다 진화한 진핵생물 효모의 유전자 전사에서도 두 방식이 모두 쓰인다는 것이 지난달에 보고됐다사람도 진핵생물이어서세균과 효모뿐 아니라 사람까지 온갖 생물의 유전자 전사에 두 방식 모두 쓰일 개연성이 커졌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세균바이러스의 방식은 세균이나 효모와 사뭇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바이러스의 경우 재생종결 없이 해체종결만 일어나는 것이다이를 토대로연구팀은 RNA 중합효소가 세균에서 바이러스와 달리 적응하면서 해체종결에 재생종결이 추가돼 두 방식이 공존하게 되었고최소한 효모로의 진화에서 그대로 보존됐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전사 종결방식의 차이. 유전자 DNA(검정 직선)의 유전정보에 따라 전사물 RNA(회색 곡선)를 합성하는 RNA 중합효소(노랑 모형)가 전사 반응을 마무리하는 방식이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은 전사 복합체 구성물 셋 다 흩어지는 해체종결과 중합효소가 DNA에 남는 재생종결 둘 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해체종결만 하는 것이 발견됐다.

<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전사 종결방식의 차이. 유전자 DNA(검정 직선)의 유전정보에 따라 전사물 RNA(회색 곡선)를 합성하는 RNA 중합효소(노랑 모형)가 전사 반응을 마무리하는 방식이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서로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은 전사 복합체 구성물 셋 다 흩어지는 해체종결과 중합효소가 DNA에 남는 재생종결 둘 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해체종결만 하는 것이 발견됐다. >

 

이번 연구에서 거푸집 DNA와 전사물 RNA에 각기 다른 형광물질을 부착해 전사 복합체 하나하나의 형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일분자 형광기술 연구기법이 사용됐다전사 종결로 RNA가 방출될 때 DNA가 효소에 붙어있는지 떨어지는지를 낱낱이 구별할 수 있게 설계한 것이 특장점이다특히 형광물질이 전사 반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게 관건이었다. 

송은호 박사후연구원과 한선 박사과정 대학원생이 공동 제저자로 참여한 논문(제목: Single-mode termination of phage transcriptions, disclosing bacterial adaptation for facilitated reinitiations)이 학술지 핵산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7월 16일 게재됐다이로써 강창원 교수와 홍성철 교수는 2017년부터 총 8편의 논문을 공동으로 발표했다. 

 

강창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수 초 동안의 분자 반응에서 유구한 진화과정을 밝혀냈고앞으로 더 광범위한 진화를 연구할 계획이다라고 했다홍성철 교수는 "분자 하나하나를 관찰하여 복잡한 생물체의 진화를 파악했고이런 단일분자 연구기법을 차세대 RNA 의약품과 진단 시약의 개발에 응용하는 연구로 이어가고자 한다라고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57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3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201
453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55
452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283
451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24
450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02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71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33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538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574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80
444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540
443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36
442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50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31
440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201
»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063
438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224
437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8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