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이진수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이진수 박사 >

 

우리 뇌에 과도한 기억이 형성되면 극심한 공포와 관련된 기억이 제대로 소멸되지 않아 발생하는 PTSD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우리 연구진이 빛으로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과도한 기억 형성을 억제해 PTSD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화제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뇌에서 기억 형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연구팀은 다양한 뇌 신경전달물질들에 의해 활성화되는 대표적인 세포내 신호전달분자효소인 PLCβ단백질*에 집중했다이번 연구는 기억 형성과 소멸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PLCβ1)의 기능을 규명하였으며, PTSD와 같은 과도한 기억 형성에 의한 정신질환의 새로운 분자적 기전을 밝히는데 기여했다.

*PLCβ단백질인산지질 가수분해효소 베타 1 

우리 뇌는 매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고 소멸시킨다기억 형성과정은 해마라는 뇌 부위에서 이루어지며여기서는 양성적 신호와 음성적 신호가 균형을 맞추어 최적의 기억 형성을 유지한다그러나 양성 조절 인자가 부족하면 기억 형성에 문제가 생기고음성 조절 인자가 손상되면 과도한 기억이 형성된다이러한 과도한 기억 형성은 PTSD와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허원도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단백질(PLCβ1)이 해마에서 기억 억제자로 작용하여 과도한 기억 형성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동 단백질이 해마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은 단백질(PLCβ1)을 결핍시킨 마우스에서 과도한 기억 형성과 공포 반응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고반대로 동 단백질이 과발현하거나 광유전학으로 활성화시키면 과도한 공포 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이는 동 단백질이 기억 형성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적절한 기억 형성을 유도함을 의미한다.

그림 1. PLCβ1 결핍 마우스에서 증가된 공간 공포 기억과 손상된 기억 소멸을 관찰

< 그림 1. PLCβ1 결핍 마우스에서 증가된 공간 공포 기억과 손상된 기억 소멸을 관찰 >

 

연구팀은 빛으로 제어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하여 단백질(PLCβ1)의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하였다이 기술은 빛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어뇌의 특정 부위에서 일어나는 신경 활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이를 통해 연구팀은 동 단백질이 기억 형성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이는 광유전학 기술이 신경 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PTSD와 같은 정신질환 원인 규명 및 치료에도 혁신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 2. 해마 치상회에서 PLCβ1 발현 조절을 통해 관찰된 결과 요약 그림

< 그림 2. 해마 치상회에서 PLCβ1 발현 조절을 통해 관찰된 결과 요약 그림 >

 

그림 3. 청색광으로 PLCβ1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광유전학 기술 개발

< 그림 3. 청색광으로 PLCβ1 신호를 활성화시키는 광유전학 기술 개발 >

 

단백질(PLCβ1) 결핍 마우스에서 나타난 과도한 공포 반응은 PTSD 환자의 증상과 유사하다연구팀은 동 단백질 활성화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과도한 공포 기억이 형성되는 마우스 모델에서 공포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이는 동 단백질이 PTSD와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 단백질을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기억 형성을 억제해 PTSD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교신저자인 허원도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단백질(PLCβ1)이 해마에서 기억 형성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으며이는 PTSD와 같은 정신질환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그리고 동 단백질의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공포 기억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이는 정신질환 치료에 혁신적인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아울러 실제 치료에 적용되거나 동 단백질 신호 억제가 다른 뇌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그리고 인간에게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임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고 첨언했다.

그림 4. 기억 형성 단계에서 PLCβ1 활성화로 공간 공포 기억 반응 감소 관찰

< 그림 4. 기억 형성 단계에서 PLCβ1 활성화로 공간 공포 기억 반응 감소 관찰 >

 

그림 5. PLCβ1 과발현 및 활성에 의해 트라우마에 의한 과도한 기억 형성 억제 관찰

< 그림 5. PLCβ1 과발현 및 활성에 의해 트라우마에 의한 과도한 기억 형성 억제 관찰 >

 

생명과학과 이진수 박사가 제저자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저명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s Advances)’2024년 7월호 인쇄판에 게재될 예정이며, 2024년 6월 28일자로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Phospholipase C beta 1 in the dentate gyrus gates fear memory formation through regulation of neuronal excitability). (Impact Factor: 13.6). (DOI: 10.1038/s41592-023-02122-4) 

한편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사업, KAIST 글로벌특이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허원도 교수는 2008년 우리학교에 부임 후 분자광유전학연구분야를 개척하여 세포생물학 및 신경과학에 응용하여 연구 성과를 발표함. Molecular Cell, PNAS, Nature Biotechnology (표지 논문), Nature Cell Biology, Nature Chemical Biology, Nature Methods, Nature Communications 지등 주요저널에 9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광유전학 연구로만 3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함. 세포생물학 및 뇌과학의 연구 트랜드를 변화시키고, 독자적인 광유전학 기술과 RNA 치료의 새로운 치료패러다임을 제시 (Repairing) 하고 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6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57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3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201
453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255
452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283
451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24
450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202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71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433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538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574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80
444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540
443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4.11.26 736
442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생명과학과 2024.11.06 650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31
440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201
439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063
438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224
»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8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