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논문 내용과
의미를 설명해 주세요.
현재 mammalian 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백질 의약품의 70%는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를 이용합니다. Glutamine
synthetase (GS) / Methionine sulfoximine (MSX) 시스템은 CHO
세포에서 단백질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시스템이지만, 저는 인간유래 세포인 Human embryonic kidney (HEK) 293 세포에서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위의 시스템을 적용하였습니다. 햄스터 유래인 CHO 세포와 달리 인간 유래인 HEK293 세포에서 생산된 단백질은 그 구조나 특성이 인간에 더 적합해서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전 연구 결과에 의해 HEK293 세포 자체가 MSX에 저항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먼저 CRISPR/Cas9 system을 이용해 HEK293 세포의 GS 유전자를 제거하였습니다. 다음으로 GS/MSX 시스템을 이용하여 항체의약품 생산이 잘 이루어 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후로는 GS/MSX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진 생산 세포들의 생산량 및 세포들의 유전자 카피 수와 mRNA 발현 레벨을 비교하여 시스템의 특성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2. 연구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해 주세요.
연구실에서 주로 사용하던 CHO 세포와 달리 HEK293 세포는 세포 배양이 까다롭고, 같은 시스템을 적용하더라도 다른 양상을 보여 실험할 때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래도 계속 실험을 하다 보니 세포를 다루는 요령을 많이 익혀 무사히 실험을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3. 연구를 통해 얻은 지혜를 후배들에게 들려주세요.
학위과정을 하면서 생각지 못한 결과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이를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스스로 공부하면서 알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 사람들과 함께 디스커션을 하면서도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자기 일에 집중하는 것 외에도 주변과 함께 소통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4. 나는 왜 생명과학자가 되었는가?
어려서부터 생명과학에 대해 관심이 많았습니다. 공부하면서는 좀더 현실에 직접적으로 적용가능한 연구를 하고 싶어 의약품 생산을 연구하는 동물세포공학연구실로 오게 되었습니다.
5. 다른 하고 싶은 이야기
항상 학생들보다도 열심히 공부하시고 연구하시는 지도 교수님 이균민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부족한 저를 기다려주시고,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함께 실험실에서 지낸 연구실 멤버들에게도 감사를 전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