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수리과학과 곽시종 교수, 화학과 이효철 교수, 화학과 임미희 교수,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화학과 홍승우 교수,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 (왼쪽부터) 수리과학과 곽시종 교수, 화학과 이효철 교수, 화학과 임미희 교수,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화학과 홍승우 교수,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 >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최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유욱준)은 11월 28일 오후 열린 2023년도 제2회 정기총회에서 2024년도 정회원 33명을 선출했다.

그 중 우리 대학 수리과학과 곽시종 교수, 화학과 이효철 교수, 화학과 임미희 교수,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화학과 홍승우 교수, 김재철AI대학원 예종철 교수가 포함됐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2024년 1월 17일(수) 2024년도 정회원 입회식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하고 신임 회원들의 연구업적을 소개할 계획이다.

우리 대학 소속 교원들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곽시종 교수(연구분야 대수학): 복소사영대수기하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다양체들의 기하학 구조에 관한 여러 가지 가설을 해결함

- 이효철 교수(연구분야 물리화학): 시간분해 엑스선회절을 이용한 반응 메카니즘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작은 분자에서부터 단백질 콤플렉스까지 다양한 분자에 대한 구조동역학 연구 수행

- 임미희 교수(연구분야 무기화학): 세계 최초로 화학적 접근을 통해 금속, 단백질, 활성 산소종 및 신경전달물질로 이루어진 생체 네트워크와 치매 병리와의 연관성을 원자,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신개념 치매 치료제 개발 연구 수행

- 홍승우 교수(연구분야 유기화학): 산화-환원 활성 전구체를 미리 설치하지 않고도 에너지 전달 기작을 통해서 디라디칼로 활성화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는 등 새로운 유기반응 개발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독보적인 연구 수행

- 허원도 교수(연구분야 세포생물학): 외부에서 가해지는 빛으로 살아있는 동물의 이온채널 활성을 조절하는 광유전학(optogenetics) 연구기법에 착안하여, 세포 내 다양한 분자의 기능을 빛으로 제어하는 새로운 실험 기법을 개발함

- 예종철 교수(연구분야 정보통신공학): 바이오, 의료영상 분야 통신신호처리와 인공지능 접목 분야의 연구 수행으로 압축센싱 기법과 의료영상 복원 문제를 DNN으로 모델링하는데 있어서 주요 방법론을 제시함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3307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5 [서성배, 이승희 교수님] 뇌는 포도당을 구별한다..비만·당뇨 치료의 단서 찾아​ new 생명과학과 2025.07.10 8
464 [정현정 교수님] 부작용·내성 극복한 신개념 칸디다증 치료제 개발​ new 생명과학과 2025.07.10 6
463 [이흥규 교수님]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생명과학과 2025.07.02 115
462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396
461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생명과학과 2025.06.04 313
460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448
459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387
458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334
457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478
456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1383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69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948
453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878
452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804
451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65
450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78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993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1012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1142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10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