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김학성 명예교수

< 생명과학과 김학성 명예교수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학성 명예교수가 2023년 효소 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본 상은 효소공학(Enzyme Engineering)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회 상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효소공학 학회(Enzyme Engineering Conference)에서 수여된다시상식은 오는 10월 1일부터 6일까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제27차 학회에서 수상 강연과 함께 진행된다. 

효소(Enzyme)는 반응 특이성과 효율이 매우 높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생체 내에서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예를 들면 유전자 복제신호전달대사단백질 합성 등 다양한 과정에 필수적으로 작용한다산업적으로 효소는 의약품 및 정밀/범용 화학제품 생산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고자 효소 기반 공정 개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자연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종류의 효소는 생체 내 반응에 적합하도록 진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실제 산업적으로 사용하는 데 많은 제약이 있다이를 해결하고자 생명공학화학기업대학과 연구소에서 응용 목적에 맞는 효소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김학성 교수는 지난 30여 년 동안 구조 기반 설계방향적 진화 및 컴퓨터 기반 설계를 통해 목적에 맞는 기능을 갖는 효소를 효율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김 교수팀이 개발한 기반 기술은 산업용 효소단백질 신약합성 생물학바이오 화학, 생유기 합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원천 기반 기술이다. 

김 교수는 일련의 연구를 세계 최고 학술지인 사이언스(Science)’를 비롯한 네이쳐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등의 저명 학술지에 발표하였고 60편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국제적으로 괄목할 업적을 이뤘다또한효소를 이용한 정밀화학 및 의약품 생산 기술을 산업체에 기술 이전 하여 관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김학성 교수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관련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 학회상인 효소 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자로 선정됐다. 

 

상을 수상한 김학성 교수는 연구실 실적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권위 있는 상을 받게 되어 매우 영광이고연구실 졸업생들과 재정적 지원을 해주신 기관에 감사를 드린다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효소의 산업적 응용을 확대시키는데 노력을 할 것이다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3 [이흥규 교수님]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생명과학과 2025.07.02 79
462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생명과학과 2025.06.10 370
461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생명과학과 2025.06.04 289
460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5.05.30 418
459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생명과학과 2025.05.23 365
458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313
457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생명과학과 2025.05.15 448
456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1349
455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file 생명과학과 2025.03.26 751
454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5.03.11 936
453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17 858
452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794
451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46
450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856
449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962
448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5.01.13 982
447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1115
446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1080
445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1019
444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10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