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4637 댓글 0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005년 올해의 KAIST인상’에 생명과학과 김재섭 교수를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김 교수는 올 한해 세계적인 학술지인 네이처 제네틱스와 뉴런誌에 주저자로 논문을 발표했으며 사이언스誌에 투고된 논문이 수정중에 있는 등 높은 연구성과를 거뒀다.

또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 8월에 설립한 제넥셀-세인을 코스닥에 상장시켜 견실한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키워 왔으며 항체 제조기업인 에이프로젠을 인수하는 등 산업적 활동에서 탁월한 능력을 펼쳐 왔다.

KAIST 관계자는 “김 교수의 학문적 성과와 기업활동이 국내외 신문과 방송 등에 보도되면서 KAIST의 위상을 높였으며 신의약 개발에도 공헌한 점을 높이 평가받아 선정됐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내년 1월 2일 KAIST 대강당에서 열리며 상패와 상금 500만원이 수여된다.

[대전일보 2005-12-27 23:33 / 이준기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 김진우 교수, 발달과정 세포 간 정보전달 원리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7.23 7168
173 김학성 교수, 세포 내 단백질 전달 효율 높이는 DNA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6962
172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6914
171 허원도 교수,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6895
170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6871
169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6665
168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6410
167 KAIST 김승중 교수 (생명과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바이오의약품대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1.04 6397
166 허원도 교수, 항체를 빛으로 활성화 시키는 항체광유전학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10.28 6361
165 허원도 교수님_머리에 빛 비춰 공간기억 및 공감능력 높이는 광유전학 기술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1.21 6322
164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1.29 6025
163 이승희 교수님_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file 생명과학과 2020.04.26 5944
162 임대식 교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4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2.26 5883
161 손종우 교수님_ 소금 섭취 제어할 수 있는 신체 메커니즘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2.12 5790
160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5638
159 서성배 교수, 당뇨에 큰 영향 미치는 뇌 혈당조절 신경세포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10.30 5589
158 허원도 교수, 광유전학 신경세포 수용체 활성조절로 신경세포분화 운명 제어 성공(Cell Chemical Biology 표지논문 발표) file 생명과학과 2019.12.24 5488
157 제5회 연구노트 경진대회(Lab Note Contest) 시상식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5463
156 허원도 교수님_빛으로 RNA 이동과 단백질 합성 조절한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2.20 5226
155 김세윤교수님_보톡스처럼 신경 활성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 찾았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3.26 5189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