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건국대·KAIST 연구팀 "정신질환·치매 등 치료에 기여"



김세윤 교수님_이노시톨 파이로인산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분비 조절 모식도.jpg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분비 조절 모식도 




국내 연구진이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 정지혜 교수·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뇌에서 합성되는 화학물질인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의 신경 활성 조절 기능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은 과일이나 곡물 등을 통해 섭취한 이노시톨이 체내에서 인산화되면서 생겨나는 물질이다. 이노시톨은 반드시 음식으로만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이다.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이 비만·당뇨·면역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뇌에서의 기능은 밝혀진 게 없다.


연구팀은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을 체내에서 합성하는 효소가 제거된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신경전달물질이 비정상적으로 가속화한 것을 확인했다.  뇌 속 신경세포는 시냅스라는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이 결여된 생쥐 모델에서는 신경전달물질을 담는 주머니인 시냅스 소포체가 세포 밖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보톡스'(보툴리눔 톡신)처럼 체내에서 신경 활성을 억제하는 화학물질을 찾아낸 것이다.

시냅스 소포체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억장애·조현병 등 정신 질환,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박승주 박사, 건국대학교 박호용 박사, 카이스트 생명과학 박사과정 김민규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아이사이언스'(iScience) 지난 23일 자에 실렸다.


대전 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324162900063?section=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5 도민재, 박재윤, 정현정 (박태관 교수 lab), 2010'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0 13934
264 BK21사업 생물사업단 2단계 종합평가 결과 '매우우수', 교과부장관 표창! 과사무실 2012.09.07 13931
263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3924
262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3921
261 마 원 박사과정생(김은준 교수 Lab), 제3회 바이오니아 차세대 연구자상 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0 13921
260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3886
259 김학성교수...독일화학誌에 발표 과사무실 2007.08.01 13872
258 개교 35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 김태국 교수(학술상), 김학성 교수(국제협력상) 과사무실 2006.02.15 13867
257 제1회 젊은 파스퇴르상 카이스트 석권! 과사무실 2010.03.02 13831
256 최길주 교수, 제5회 마크로젠 신진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8.10.13 13829
255 정형록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Development Cell 게재(2016.02) / Hyung-Lok Chung,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Dev. Cell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11 13826
254 김진우 교수, 김예하 박사 eLife 지에 논문 게재(2017.01) / Prof. Jin Woo Kim, PhD. Yeha Kim published a paper in eLife(2017.01) 생명과학과 2017.02.03 13824
253 강창원 교수, KT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6 13802
252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4.12.27 13743
251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3712
250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3700
249 전상용 교수 연구팀, 금 알갱이로 항암백신을 만들다 과사무실 2012.08.17 13610
248 강창원 교수, 2010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선정! 과사무실 2010.11.08 13610
247 조홍석 박사과정 학생, Traveling Award 및 Best Presentation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0.07.16 13599
246 한진희 교수, 선천적 공포 반응에 대한 신경회로 첫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18.08.08 13563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