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associate_pic

[대구=뉴시스] 나호용 기자 = 한국뇌연구원은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수상자로 김보람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연구소 박사후연수연구원을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김보람 박사는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021년 5월 5일 출판된  ‘Response of the microbiome-gut-brain axis in Drosophila to amino acid deficit’논문의 제 1저자이다.

시상식은 오는 12일 한국뇌연구원 우뇌동 개원 기념 심포지엄에서 열린다.

다한우수논문상은 한국뇌연구원 서판길 원장이 2020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후 받은 상금 3억원을 한국뇌연구원에 기탁하면서 제정됐다. 2021년부터 매년 국내 과학자들이 발표한 뇌연구분야 우수논문을 발굴해 시상하고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김 박사는 동물 체내에서 필수아미노산의 결핍에 따른 인지 및 섭식행동에 장내세균-장-뇌의 상호작용이 작용한다는 것을 분자적 수준에서 처음으로 규명했다. 장내미생물과 동물의 식습관이 장-뇌 축을 통해 조절된다면, 미생물 섭취라는 방법을 통해 만성 질병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한우수논문상은 국내 뇌과학분야 우수 논문을 선정하고, 해당 논문 작성에 주체적 역할을 한 주니어급 연구자를 격려, 대한민국 뇌연구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뇌연구 기관의 주도로 진행된 연구 논문의 대한민국 국적 제1저자를 수상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뇌연구원은 국내 뇌연구 분야 석학으로 구성된 포상심의위원회를 통해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 김은준 단장, 아주대 의대 서해영 교수,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상기 교수, 연세대 의대 김철훈 교수 등이 심의위원으로 참여했다.

2021년 제1회 다한우수논문상은 이준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사과정 학생(현 하버드대 박사후연수연구원)과 김지영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연구원(현 한국뇌연구원 박사후연수연구원)이 네이처에 게재한 ‘Astrocytes phagocytose adult hippocampal synapses for circuit homeostasis’로 수상했다.

한국뇌연구원 서판길 원장은 “다한은 순우리말로 ‘최선을 다한다’라는 의미로, 다한우수논문상을 통해 국내 뇌연구 역량 강화와 후배연구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창출을 기대한다”고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33
7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20
7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77
71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7
7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43
6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19
67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285
66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57
65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227
6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701
63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99
6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89
61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88
60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55
59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54
5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46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408
5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88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47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