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알츠하이머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 KAIST 박성홍 교수, 연세대학교 정호성 교수, KAIST 정원석 교수, 서울대학교 박혜윤 교수(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삼성전자가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921)을 맞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아 연구하는 국내 연구진 영상을 20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알츠하이머와 관련한 다양한 기초 연구를 돕고 있다. 연재까지 알츠하이머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연구 15개를 지원했다.

 

삼성전자 뉴스룸에 공개한 '알츠하이머를 쫓는 사람들' 영상은 삼성 지원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을 위해 노력하는 국내 연구진과 성과를 담았다.

 

정원석 KAIST 교수는 수면과 노화에서 뇌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뇌 뇌화를 억제하고 알츠하이머와 같은 질환을 예방· 치료하는 데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홍 KAIST 바이오 뇌공학과 교수는 '새로운 뇌 영상화 기법 MRI' 를 연구한다. 뇌막 림프관을 통해 뇌의 노폐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밝히는 연구다.

 

정호성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는 축삭(뉴런의 가장 끝에 위치해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흥분을 다른 신쳥세포에 전달하는 돌기 부분) 퇴화 연구를, 박예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살아있는 뇌에서 기억의 흔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영상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2013년부터 1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는 사업이다. 현재까지 603개 과제에 7729억원을 집행했다. 네이처, 사이언스 등 국제학술지에 논문 1246건을 게재했다.

 

삼성전자는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과학이 중요하다는 이재용 부회장의 철학을 반영해 삼성미래기술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내년부터는 호암과학상을 물리·수학 부분, 화학·생명과학 부문으로 확대 개편해 과학기술 분야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화암과학상 확대는 이부회장 제안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또 국내 대학들의 미래 기술·인해 양성를 지우너하기 위해 산학협력에 1000억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https://www.etnews.com/202009200000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2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210
321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426
320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338
319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11
318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534
317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557
316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8
315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297
314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37
313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361
31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587
31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546
310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62
309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430
308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715
307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884
306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586
305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1969
304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2019
303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396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